“확산 방지·재외국민 안전 위해”
의료인들 “혹시 모를 감염 대비를”
의료인들 “혹시 모를 감염 대비를”
정부가 서아프리카 지역을 중심으로 유행하고 있는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응하려는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하는 차원에서 국내 의료진을 파견하기로 했다. 의료인력의 감염 사례가 적잖은 만큼 파견 의료진의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한다는 게 정부 방침이다.
보건복지부는 에볼라가 유행하고 있는 라이베리아·시에라리온·기니 등 서아프리카 지역에 국내 의료진을 파견해 지원 활동을 하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파견 의료진의 구체적인 규모와 대상 지역 등은 20일 외교부·국방부 등 관계부처와 회의를 열어 결정하기로 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파견된 의료진은 서아프리카 현지의 에볼라 확산을 방지하려는 의료 활동을 하는 한편으로 현지 한국인 교민 가운데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이들의 치료 및 국내 후송 등의 협조 체계를 구축해 재외국민의 안전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복지부는 국내 의료진이 서아프리카 현지에서 직접 에볼라 등 감염병 위기 대응 체계를 경험함으로써, 국내의 감염병 위기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역량을 키울 수 있으리라고 기대했다.
정부의 의료진 파견 방침을 두고, 파견 의료진이 에볼라 바이러스를 국내로 옮겨오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일각에서 제기된다. 앞서 미국 등 다른 나라 의료진이 에볼라 환자를 돌보다 감염된 사례가 적지 않아서다. 국내 의료진 사이에서는 국제사회와 협력 차원에서 의료진 파견이 바람직하지만, 혹시 모를 의료진의 감염에 대비해 대책을 미리 세워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수도권의 한 대학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인도적인 차원 및 감염의 국제 유행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우리나라 의료진을 파견해 감염자 치료나 감염 예방을 위한 지원 활동을 하는 것에는 찬성한다. 하지만 의료진이 감염됐을 때 치료 및 국내 후송 대책이나 보상 등의 문제도 충분히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에서는 의료진을 파견하되, 이후 현지는 물론 국내에 돌아와서도 관리가 가장 잘될 수 있는 군의료진을 파견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한편, 부산의 시민사회단체들이 ‘정보통신기술분야의 올림픽’으로 불리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권회의 개막을 사흘 앞둔 17일 에볼라 방역 대책이 허술하다며 개선을 촉구했다. 부산시민단체협의회·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부산여성소비자연합·서부산시민협의회 등 부산의 시민사회단체 172곳은 이날 “정부와 부산시의 에볼라 방역대책에 심각한 허점이 노출됐다. 에볼라가 발생한 기니·라이베리아·시에라리온·나이지리아·세네갈·콩고 등 서아프리카 6개국 가운데 세계보건기구 관리 대상 국가에서 제외된 나이지리아·세네갈·콩고 3개국 참가자도 관리 대상에 포함시켜라”고 촉구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부산/김광수 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