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가 많을수록 하루 수면 시간이 6시간 미만으로 잠을 덜 자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대희 서울대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서울대 의대 학장) 연구팀은 2004~2008년 도시 기반 역학조사에 참여한 40~69살 8만494명(남 2만7717명, 여 5만6377명)을 대상으로 ‘한국인 중장년층에서의 수면시간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를 한 결과 스트레스가 많은 사람들은 6시간을 채 못 자는 비율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견줘 남성에서 1.8배, 여성은 1.6배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미국수면재단(NSF)이 올해 밝힌 나이대별 하루 수면시간 지침을 보면 26~64살 성인은 7~9시간, 65살 이상 노인은 7~8시간을 자도록 권장된다. 하루 6시간 이하 또는 10시간 이상을 자면 ‘부적당 수면시간’으로 분류된다.
이번 연구 결과에서는 또 우울증 환자의 경우 하루 6시간을 채 못 자는 비율이 적정 시간을 자는 사람에 견줘 남성에서 1.8배, 여성에서 1.6배 가량 높았다. 이밖에 흡연, 불규칙한 식사 습관, 주관적인 건강상태, 우울증 여부 등도 수면 시간에 영향을 줬다.
강 교수는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나쁜 생활습관, 좋지 않은 심리상태 등이 잠을 적절히 못 자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낸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인 <플로스원> 5월호에 실렸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