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회사다니는 남편 둔 경우보다 70%↑
스스로 직장을 그만 둔 남편을 둔 아내가 계속 직장을 다니거나 원치 않은 실직을 한 남편을 둔 경우보다 우울감을 더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계 수입 감소가 아내의 우울감 증가의 주된 원인으로 추정됐다.
강모열 서울대의대 예방의학교실 연구원은 “2006~2012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에 참여한 45살 이상 5937명을 대상으로 은퇴에 따른 우울감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스스로 은퇴를 한 남편과 함께 사는 아내는 계속 직장에 다니는 남편을 둔 아내보다 우울감을 느낄 위험이 70% 높았다”고 밝혔다. 또 “원하지 않은 실직을 한 남편을 둔 아내는 계속 직장에 다니는 남편을 둔 아내보다 우울감을 느낄 위험이 29% 높았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참여자 본인과 배우자의 직업상태를 근무, 자발적 은퇴, 비자발적 은퇴 등으로 구분하고 우울척도검사를 했다. 강모열 연구원은 “남편이 정년 퇴임을 한 뒤 아내의 집안일에 간섭하면 아내는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결국 남편의 은퇴가 불러오는 생활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 부부 갈등으로 이어지고 아내의 우울감을 일으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목할 점은 참여자들의 재산, 가구 소득 등을 배제하고 분석한 결과 우울감 위험도 차이가 크게 낮아졌다는 것이다. 스스로 은퇴한 남편을 둔 아내의 우울감 위험도는 70%에서 35%로 뚝 떨어졌고, 원치 않은 실직을 한 남편을 둔 아내는 직장을 다니는 남편의 아내와 우울감 정도에 차이가 없었다. 강 연구원은 “재산이나 가구소득 등을 보정했을 때 우울감 위험도가 낮아진다는 것은 그만큼 은퇴로 인한 경제적인 스트레스가 큰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에서 남편은 아내가 자발적이든 비자발적이든 은퇴를 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와 우울감에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통적인 남녀역할의 고정관념 등이 남녀가 배우자의 은퇴를 다르게 받아들인 원인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인 <통합정신의학> 최근호에 실렸다.
김양중 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