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건강 화제
뇌졸중으로 쓰러진 뒤 회복한 환자 10명 가운데 4명은 직장을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수준이 높으면 상대적으로 직장 복귀 가능성이 높았다.
김연희·장원혁 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교수팀은 2012년 8월~2014년 10월 전국 9개 병원에서 진료한 뇌졸중 환자 가운데 발병 전 직업활동을 했던 93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뇌졸중 치료 뒤 다시 일터로 되돌아간 환자는 560명(60%), 그러지 못한 환자는 373명(40%)으로 집계됐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연구 참여자 모두 뇌졸중 발병 6개월 뒤 평가에서 혼자 이동하는 것은 물론 신체활동이 가능한 상태였고, 인지기능 또한 문제가 없었다. 평균 나이는 56.9살이었으며, 성별로는 남성이 77.1%였다.
또 뇌졸중 뒤 직업을 되찾은 환자의 97.1%(544명)는 예전과 같은 곳에서 근무를 했고, 일부(16명)만 직업을 바꿔서 일했다. 환자의 성과 나이에 따라 직업 복귀의 차이는 컸는데, 65살 미만 남성은 70.2%가 일을 되찾았지만, 65살 미만 여성은 48.3%에 불과해 큰 차이를 보였다. 65살을 넘은 경우에는 남녀 모두 일터로 되돌아간 비율이 절반(남성 46.4%, 여성 45.2%)보다 낮았다.
교육 수준도 뇌졸중 뒤 직장 복귀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직장에 복귀한 560명 가운데 ‘대졸 이상 학력’이 38.4%로 가장 많았고, ‘고졸’이 33.2%로 그 뒤를 이었다. 직종별로는 농업·어업·임업 분야가 66.4%로 가장 많이 복귀했고, 전문직 종사자가 62.4%로 뒤를 이었다. 반면 군인은 36.4%로 전 직종 가운데 가장 낮았다.
김연희 교수는 “뇌졸중 환자를 치료할 때 직업 재활을 비롯해 여러 방면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나이와 성별에 따라 직업복귀율이 차이 나는 경향이 확인된 만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에서 지원을 받아 우리나라 뇌졸중 환자 8000여명의 기능 회복 상태를 10년 동안 추적 관찰하는 한국뇌졸중재활코호트연구단의 과제로 진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재활의학분야 국제 학술지인 <재활의학지>최근호에 실렸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