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한 검사법 등 뒤따라야”
보건당국이 고교 1년 학생과 40살에 대해 잠복결핵 검사를 받도록 한 조처와 관련해 검사의 정확성을 높이는 방법과 치료 대상 선정 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세계보건기구(WHO) 쪽의 권고가 나왔다.(<한겨레> 3월28일치 12면)
1일 질병관리본부와 국내 결핵전문가들의 말을 종합하면, 질병관리본부와 세계보건기구 공동주최로 지난달 27~28일 서울에서 열린 ‘잠복결핵 감염 관리정책 국제회의’에서 우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고1·40살에 대한 잠복결핵 검사와 관련한 논의가 있었다.
마리오 라빌리오네 세계보건기구 결핵퇴치국장은 지난 27일 기자회견에서 “잠복결핵에 대한 예방적 치료는 비용 대비 효과 등으로 판단해 볼 때 적극적으로 권장된다”면서도 “잠복결핵에 대한 검사 결과가 과거의 결핵균 감염인지 현재의 감염인지 구별하지 못할 수 있고 가짜 양성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나 더 정확성이 높은 검사법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마리오 국장은 또 “잠복결핵이 모두 결핵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각 나라의 사정에 맞는 치료 선정 대상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에이즈 감염 등 면역저하자, 만성질환자, 탄광 노동자 등은 결핵 발병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질병관리본부는 잠복결핵 검사는 계속 추진하되, 검사에서 양성이 나왔을 때 치료할 대상을 선정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또 부작용이 적고 복용이 간편한 결핵치료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박옥 질병관리본부 에이즈결핵관리과장은 “잠복결핵 검사에서 양성이 나왔다고 해서 모두 다 치료를 하는 것은 아니고, 당뇨·흡연자·신장질환자·면역저하자 등 결핵 발병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치료를 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과장은 또 “잠복결핵에 대한 치료는 두 종류 또는 한 종류의 항결핵제를 3~4개월씩 먹어야 하는데, 일주일에 한번씩 12주만 먹는 치료제를 도입해 약물 부작용을 줄여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잠복결핵은 결핵균이 몸에 들어왔으나 질병을 일으키지 않은 상태로, 보균자 10명 가운데 1명가량이 결핵으로 발병한다. 지난 3월24일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15살 전후인 고교 1학년의 경우 내년부터 학교건강검사에서 잠복결핵 검사를 추가하고, 40살에 받도록 돼 있는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에서도 잠복결핵 검사를 포함하기로 한 ‘결핵 안심 국가 실행계획’을 확정해 발표했다. 이에 대해 일부 결핵 전문가들이 잠복결핵 검사에서 상당수는 가짜 양성이 나와 불필요한 치료를 받다가 오히려 약 부작용에만 시달릴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과잉검진’ 논란이 인 바 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