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흡연만큼 정신건강 악영향”
간접흡연이 신체적 건강을 해치는 것은 물론 자살을 생각하는 등 정신적인 악영향까지 끼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일 유준현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김욱 강릉동인병원 가정의학과 과장 팀이 2010~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담배를 피우지 않는 성인 6043명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간접흡연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사람(3006명)은 없는 사람(3037명)보다 자살을 생각할 위험이 1.4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만 분석했을 때는 더 높아져 자살을 생각할 위험이 2.49배였다. 연구팀은 조사 참여자의 간접흡연 노출 여부를 확인한 뒤 1년 동안 2주 연속으로 우울감이 있었는지 또는 죽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는지 등을 물었다.
간접흡연과 자살 생각의 관련성은 집과 직장 등 노출 장소 및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집에서 간접흡연에 노출된 여성은 그러지 않은 여성보다 자살에 대한 생각은 1.55배, 우울 증상은 1.46배 많았다. 연구팀은 “담배 연기에 포함된 독성이 뇌신경전달물질을 감소시키고, 원하지 않는 담배 연기 노출에 따른 스트레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밝혔다. 간접흡연과 관련한 정책을 펼칠 때는 심리적인 건강까지 주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유준현 교수는 “간접흡연은 적극적인 규제 등을 통해 줄일 수 있다. 정책적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