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습관 상담서비스 제공 늘리고
스마트폰으로 맞춤형 정보 제공키로
스마트폰으로 맞춤형 정보 제공키로
2018년부터 국가건강검진에서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위암, 대장암 등 5대암과 고혈압, 당뇨가 의심된다고 나올 경우, 이들 질환을 확진하는 검사는 무료로 받을 수 있다.
보건복지부는 28일 국가건강검진위원회를 열어, 이런 내용을 포함한 ‘제2차(2016∼2020년) 국가 건강검진 종합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현재는 위암과 대장암에 대해 1차 검사에서 의심 판정이 나오면 확진을 위한 조직검사 비용을 지원하고 있는데, 이 대상에 유방암, 자궁경부암, 간암 의심 판정 환자가 포함된다. 확진검사는 검진기관이 아닌 일반 병원에서 받아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복지부는 또 고혈압이나 당뇨 의심 판정을 받은 경우, 가까운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확진 검사를 무료로 받고 이들 질환에 대한 관리를 곧바로 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암 검진에서 암 의심판정을 받은 뒤 확진검사를 받으면서 수십만원 이상을 지출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앞으로는 정해진 확진검사를 무료로 받을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이번 종합계획에는 현재 40살과 66살 때 의사에게 받는 ‘생활습관상담 서비스’를 앞으로는 40살부터 10년마다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들어 있다. 아울러 비(B)형간염 검사나 골다공증과 우울증 검사 등도 기존보다 더 이른 나이부터 받도록 할 방침이다.
검진 결과와 건강관리를 연계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도 시행할 계획이다. 검진 결과를 스마트폰 등을 통해 ‘맞춤형’으로 받아볼 수 있고, 같은 나이대 사람들에 견줘 자신의 건강수준과 앞으로의 건강상태도 알아볼 수 있다. 취약계층 건강검진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장애인 건강검진프로그램도 2018년부터 단계적으로 도입된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