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양중 의료전문기자
김양중의건강과사회
제럴드 섀튼 박사(피츠버그대)가 황우석 서울대 석좌교수와 연구 및 협력을 중단한다고 선언한 뒤 황 교수와 관련한 뉴스가 연일 이어지고 있다. 협력 중단 이유를 두고 연구원의 난자 제공, 난자 매매를 둘러싼 생명 윤리 문제에서 줄기세포 연구 주도권을 둘러싼 경쟁까지 다양한 추측과 분석이 나왔다. 또 〈문화방송〉의 피디수첩은 ‘생명윤리냐, 국익이냐’하는 논쟁을 유발시켰다.
이런 논란은 24일 황 교수가 기자회견을 열어 사과와 함께 그간의 사정을 밝힌 것을 고비로 마무리돼 가고 있다. 이날 기자 회견장에는 수많은 국내외 기자들이 참가했다. 황 교수가 역시 국내외를 아우르는 스타구나 하는 실감을 했다.
황 교수는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있어 일과 성취만 봤을 뿐 연구원 난자 사용 문제를 비롯해 국제적 윤리를 돌아보지 못한 자신이 후회된다고 말했다. 황 교수가 약간은 울먹이는 목소리로 이 말을 하는 순간, 기자회견장의 분위기가 숙연해졌다.
나도 손가락으로 노트북 자판을 정신없이 두드리고 있었지만, 머리 속으로는 언론인으로서 지켜야 할 윤리를 제대로 준수했는지 돌아봤다. 그간 취재·보도 과정에서 취재원들의 인권이나 보호받아야 할 권리를 침해한 것은 없었는지 생각해봤다. 또 우리 사회에 제대로 된 의학 정보를 주겠다는 생각으로 기사를 썼는데 오히려 잘못된 결과를 불러일으키지는 않았는지 반성해봤다.
줄기세포 연구에만 전념하고픈 열정을 가진 황 교수를 그동안 언론이 너무 혹사시킨 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
황 교수가 스스로 밝혔듯 황 교수의 연구는 아직까지 환자의 유전자를 지닌 배아줄기세포를 만드는 기술에 불과하다. 실제 치료에 적용하기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너무 많다. 그런데도 언론들은 마치 난치병 치료가 시간문제인 것처럼 보도하고 써댔다.
황 교수가 세계줄기세포 허브 소장 직을 비롯해 모든 겸직을 그만 두고 순수 과학자로 연구에만 전념한다고 발표한 뒤에도 일부 언론은 황 교수의 소장 복직을 주장했다. 그러나 진정 줄기세포 연구의 발전을 원한다면 황 교수를 연구에만 전념하도록 하는 게 낫지 않을까? 황 교수 후원회 사이트 등을 보면, 황 교수가 맡고 있는 겸직은 허브 소장, 복지부 자문위원 등 16개 정도나 된다.
황 교수를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주고 연구 진행에 따른 사실만 가감 없이 보도하는 게 황 교수와 난치병 환자를 돕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새삼 들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