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7.08 16:42 수정 : 2019.07.08 18:29

삼성서울병원 성지동 교수팀, 17만9천명 10년 추적조사
중하위층일수록 소득 감소에 심장 질환 사망률 영향 커
“소득 양극화 줄이는 복지 정책이 국민 건강수준 높여”

가계 소득이 늘어나면 심장 및 혈관질환 사망 위험이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소득 양극화를 완화하는 복지 정책이 사회구성원들의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는 해석이 나온다.

8일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성지동 교수팀(송윤미 가정의학과 교수·홍경표 순환기내과 교수)은 2002∼2013년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표본 코호트를 바탕으로 17만8812명의 소득과 건강검진 이력, 사인 등을 분석한 결과, 중하위층일수록 소득이 많아지면 심장 및 혈관질환 사망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2002년 당시 소득을 기준으로 연구 대상자들을 상위 30%, 중위 40%, 하위 30%씩 3개 집단으로 나눠 분석했다. 이들은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하고, 심근경색이나 협심증 등 허혈성 심장질환이나 뇌졸중, 심부전 및 암 병력이 없는 사람들이었다. 10년 동안 이들의 사망률을 추적 관찰한 결과 전체 대상자의 4.1%가 사망했고, 이 가운데 0.9%가 심장 및 혈관계 질환으로 숨졌다. 소득별로 보면 상위소득층 사망자 3.6% 가운데 0.7%가 심장 및 혈관질환으로 사망해, 중·하위소득층에 견줘 사망률과 심장 및 혈관질환 사망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하위소득층의 경우 전체 사망률은 5.5%, 심장 및 혈관질환 사망률은 1.2%였다.

연구팀은 또 각 소득층의 수입 변동에 따른 사망률을 분석했다. 그 결과 상위소득층은 수입 변동에도 사망률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중하위 소득층은 수입 변동에 따라 사망률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중위층은 수입이 고정되거나 감소한 경우 사망률이 8∼9%였는데, 수입이 증가하거나 오르내림을 경험한 경우의 사망률인 2%보다 4배 이상 높은 수치였다. 하위소득층에서는 수입 변동이 없던 사람의 사망률이 13%를 기록해, 수입이 증가한 경우의 4%나 오르내림이 있는 경우의 2%에 견줘 크게 높았다.

성 교수는 “소득 수준에 따라 확연하게 심장 및 혈관질환 사망률에서 차이가 나타난다”며 “이는 소득 불평등이 실제 사회 구성원들의 건강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성 교수는 또 “소득 양극화를 완화하는 복지 정책이 복지 자체로서 의미가 있을 뿐 아니라 사회 구성원들의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유럽 예방심장학회지> 6월 온라인판에 실렸다.

김양중 기자 himtrai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