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반적 개입의혹 커져
황우석 교수팀이 피츠버그대 김선종 연구원에게 돈을 전달하는 과정에 국가정보원 직원이 개입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황우석 교수 사건에 국정원이 얼마나 개입했는지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우선, 돈 전달과 관련한 국정원의 오락가락 해명이 의혹을 키우고 있다. <에스비에스>가 27일 저녁 “황 교수 지시를 받은 국정원 직원이 윤현수 한양대 의대 교수에게 돈을 전달한 장본인”이라고 보도하자, 국정원은 곧바로 보도자료를 내 “허위보도에 대해 강력한 법적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28일 저녁 <에스비에스>가 같은 내용을 다시 보도하자 “운전원으로 파견된 직원이 연구소 쪽의 지시를 받아 안규리 교수 등에게 단순 전달하는 심부름을 했다”며 꼬리를 내렸다. 그러나 경호를 위해 파견된 국정원 직원이 단순 심부름에 쉽게 동원됐다는 해명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황 교수를 24시간 밀착경호하는 만큼 피디수첩팀의 취재 과정 등 사건의 전체 흐름을 상세히 알고 있을 국정원의 특수한 위치도 의혹을 더한다. 국정원은 황 교수 신변경호 뿐 아니라 줄기세포 기술 보안업무도 맡아왔다. 황 교수는 8월 국정원 강연에서 “나도 절반은 국정원 직원이 됐다”며 친밀감을 표시한 바 있다.
황 교수팀과 <와이티엔>을 연결해준 것으로 알려진 윤태일씨와 국정원을 연결해 해석하는 시각도 있다. 윤씨는 14일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최초 제보자와 피디수첩팀이 주고 받은 전자우편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피디수첩’ 관계자는 “국정원의 구체적인 역할은 모른다”면서도 “제보자와 우리가 나눈 전자우편 내용을 일반인이 어떻게 알 수 있겠느냐”고 말해 국정원 쪽을 의심하고 있음을 내비쳤다. 이 사건은 현재 검찰에 고발된 상태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최근 특정 개인을 염두에 둔 정부 책임론이 일고 있지만, 정작 주목해야 할 곳은 국정원”이라며 “국가예산 수백억원이 투입된 사업에 의혹이 일어난 만큼 정부의 진상규명 노력이 필요한데, 이번 사건에서 그 역할은 국정원이 했어야 했다”고 비판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