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을 막기 위해, 중국 본토 외에 홍콩과 마카오에 대해서도 특별입국절차를 마련해 검역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지역사회 감염이 확인된 싱가포르와 일본, 말레이시아, 베트남, 타이, 대만 등 6개국에 대해 여행과 방문을 최소화할 것을 권고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1일 오후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 본토 외 홍콩과 마카오에 대해서도 12일 0시를 기해 오염지역으로 지정해 검역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콩은 환자 발생(세계보건기구 10일 발표 기준 36명)이 늘어나면서 지역사회 감염 사례가 확인되고 있으며, 마카오(10명)는 중국 광둥성 인접 지역으로 이 지역을 경유한 환자가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 검역 강화 지역에 포함됐다. 중대본은 싱가포르 등에 대해서도 추후 오염지역 지정이 검토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중국 본토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이들은 ‘특별입국절차’를 거치도록 돼 있다. 앞으로는 홍콩과 마카오에서 들어오는 이들에 대해서도 같은 절차가 적용된다. 국내로 들어오는 모든 내외국인은 전용입국장으로 들어와 개별적으로 체온 검사를 받고 건강상태 질문서를 제출해야 한다. 또 국내에서의 연락처가 확인되지 않으면 입국이 금지된다.
이날 지역사회 감염이 확인된 싱가포르, 일본, 말레이시아, 베트남, 타이, 대만 등 6개국의 여행과 방문을 최소화하라는 권고도 나왔다. 현재 외교부의 4단계 여행경보제도에 따라 중국 후베이성은 3단계인 ‘철수 권고’(긴급 용무 아닌 한 철수, 여행 취소), 홍콩과 마카오를 포함한 그 외 중국 지역에는 2단계 ‘여행 자제’(신변안전 특별 유의, 여행 신중 검토) 경보가 발령된 상태다. 여행 최소화 대상 지역으로 6개국을 지정한 데 대해 중대본은 “중국과의 교류가 많고 그로 인해 지역사회 전파 위험성이 좀 더 있다고 판단한 나라들”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중대본은 이날 홍콩과 마카오, 싱가포르, 타이, 베트남을 시작으로 13일 일본, 17일 대만과 말레이시아 등에 대한 여행 이력 정보를 의료기관에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노지원 박다해 기자
z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