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후 서울 송파구 잠실운동장 주경기장에 설치된 코로나19드라이브 스루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진자가 격리해제된 뒤 다시 양성 판정을 받는 재확진 사례가 13일 현재 116명으로 늘었다. 또 4주 넘게 입원 치료를 받는 환자가 1천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확진자 수는 주춤해졌지만, 재양성 사례와 장기입원 환자 수 누적이 ‘복병’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날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본부장은 정례브리핑에서 “코로나19 격리해제 뒤 재양성으로 확인된 사례는 13일 0시 기준 116명”이라고 밝혔다. 국내 누적 확진환자 1만537명 가운데 1.1%가 재양성 판정을 받은 셈이다. 재양성 판정 사례는 누적 확진자 수가 많은 대구·경북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다. 대구 48명, 경북 35명, 경기 10명이다.
재양성 판정 사례에 대해 정 본부장은 “아직 신종 바이러스다 보니 알려지지 않은 정보가 상당하다”며 “격리해제 된 뒤에 짧은 시일 안에 재양성으로 확인됐기 때문에, 재감염보다는 환자 면역력이나 바이러스 특성 때문에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재양성 판정을 받은 환자가 추가로 바이러스를 전파한 사례는 아직 파악된 것이 없다. 정 본부장은 “재양성 2차 전파 사례 보고는 없다”며 “모니터링이 진행 중인 사례도 있기 때문에 2차 전파 여부도 모니터링하며 재양성자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에서 재양성 사례가 처음 나온 것은 지난 2월27일이다. 앞서 같은 달 9일 확진 판정을 받았던 25번째 환자가 치료 뒤 같은 달 22일 퇴원했지만 닷새 만에 다시 양성 판정을 받아 첫 재양성 사례가 됐다. 그 뒤부터 재양성 사례가 속속 등장하자 대구시는 지난 7∼8일 완치자들에 대해 전화 조사를 시행했으며, 그 결과 6.6%(316명)가 발열과 기침 등 코로나19 의심증상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세계보건기구(WHO)도 음성 판정 뒤 다시 양성 판정을 받은 사례를 한국을 포함해 검토하고 있다.
정 본부장은 치료를 마치고 “격리 해제 때 조금 더 종합적인 보건 교육과 자가격리 권고를 시행하고, 증상이 (다시) 발생했는지를 보건소가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하거나 본인들이 보고하도록 안내를 강화하고 있다”며 “격리 해제 뒤 증상이 생길 경우 관리 지침을 보완 중에 있다”고 말했다.
장기입원 환자가 누적되고 있는 점도 방역당국으로선 고민거리다. 정 본부장은 이날 “격리 기간 4주가 초과한 환자가 1천여명 되는 상황”이라며 “전체 격리환자 2873명 가운데 37% 정도”가 4주 넘게 치료를 받는 환자라고 밝혔다. 중증·위중 환자 이날 0시 기준 66명이라, 장기 입원환자 가운데 대부분은 경증인 것으로 보인다.
바이러스 확산을 막아도 치료제가 없으면 재양성·장기치료 사례는 누적될 수 있다. 정부는 치료제·백신 개발 조기 성공을 돕기 위해 ‘민관 합동 범정부지원단’을 이번 주부터 가동한다. 질병관리본부(질본) 국립보건연구원과 긴급 현안연구 공모과제에 선정된 셀트리온은 코로나19 항체 후보군 38개를 확보했다고 이날 밝혔다.
치료제 대신투입할 가능성이 있는 회복기 혈장과 관련해선, 아직 채혈 지침까지만 마련됐다. 어떤 환자에게 어떻게 혈장을 사용할지는 전문가들 사이에 이견이 있어 논의 중이라고 정 본부장을 설명했다.
한편 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25명로 전날보다 7명이 줄었다. 신규 확진자 가운데 16명(인도네시아 1명, 유럽 3명, 미주 12명)이 국외에서 유입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정 본부장은 “지금 방역 당국의 모든 관심은 저희가 확인할 수 없는 무증상·경증 감염자를 조기에 찾는 것”이라며 “각 지자체는 지역별로 의료대응체계를 점검해 주고 철저한 역학조사로 지역사회 감염고리를 찾아내는 그런 한주가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