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시민들이 산책하고 있다. 연합뉴스
22일부터 자연휴양림과 수목원 등을 시작으로, 코로나19 확산을 차단하려고 운영을 중단했던 야외시설들이 차례차례 다시 문을 연다. 방역당국은 “지금부터는 다음번 유행을 준비하는 절체절명의 시간으로, 가장 나쁜 가능성을 머릿속에 두고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21일, 국립 자연휴양림 43곳과 수목원 2곳, 국립치유원 1곳, 치유의 숲 10곳의 운영을 22일부터 재개한다고 밝혔다. 다만 여기에 딸린 숙박시설은 제외다. 개인이나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휴양림 등도 국립 시설 일정과 지침에 준해 운영을 재개할 수 있다.
지자체가 운영하는 축구장, 야구장 등 공공체육시설 2만4천여 곳은 해당 지자체가 확진자 발생 추이 등을 살펴 운영 재개 여부를 결정한다. 다시 문을 열 땐 지자체가 방역 조처를 마쳐야 하며 △유증상자와 최근 2주간 외국 방문자 이용 제한 △운영 시간·이용 인원·밀접 접촉 강좌 제한으로 이용자 분산 △발열 확인 △마스크 착용 같은 방역지침을 지켜야 한다. 공공체육시설은 무관중 또는 소규모 관중을 전제로, 필수 행사부터 점진적으로 열 수 있다.
국립공원은 사회적 거리두기 시한인 새달 5일까지는 지금처럼 탐방로와 주차장 29곳만 운영한다. 그다음날부터는 생활방역 체계로 전환할 경우 야영장, 감염병 위기 경보가 경계로 낮아질 경우 생태탐방원과 민박촌순으로 연다.
이에 따라 야외활동 제한이 일부 완화되지만, 방역당국은 “재유행은 올 수밖에 없다”며 ‘대비’에 무게를 뒀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부본부장은 “창문을 열어놓으면 1시간에 6번 정도 공기가 완전히 교체되는데, 5번만 다 환기돼도 코로나19 바이러스 양은 100분의1 이하로 줄어든다. 여름철이 돼 환기가 잘 이뤄질수록 바이러스에 노출될 가능성이 떨어지는 건 분명한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이 바이러스 자체가 유행에 계절 구분이 없고, 유행지에서도 항체 발생률이 2~3%밖에 안 된다는 국외 연구 등을 고려하면 유행은 반복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생활 속 거리두기의 실효성을 확보하고자, 곧 발표될 구체적인 생활방역 수칙을 어길 경우 과태료를 매기고, 잘 지킬 경우 인센티브를 주는 내용으로 감염병예방법을 개정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신규 확진자는 19명, 누적 확진자는 1만683명이었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