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경남 창원 마산의료원에서 <한겨레>와 만난 황수현 원장은 “감염병 위기에 잘 대응하려면 평소 지방의료원과 주변 국립대병원 간 협력체계 구축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7년 전 진주의료원 폐쇄로 경남 코로나19 환자들이 마산의료원에 쏠리는 등 어려움이 있었지만, 마산의료원과 창원·진주 경상대병원 간 오래된 협력 관계가 위기를 헤쳐나가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경남에서는 1997년부터 경상대병원이 마산의료원을 위·수탁 경영 해온 결과, 권역거점 국립대병원과 지역거점 지방의료원 간 유기적 의료체계가 비교적 잘 잡혀 있는 편이다.
황 원장은 “마산의료원이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됨과 동시에 진주·창원 경상대병원과 민간 병원인 삼성창원병원 감염내과 교수들이 이곳에 상주하며 동선 분리와 환자 진료를 도왔다”고 설명했다. 통상 지방의료원들은 감염내과 전문의를 별도로 둘 여력이 없는데, 감염병 환자는 많이 봐야 하는 모순적 상황에 부딪히게 된다. 그는 “마산의료원 환자 상태가 중증으로 악화되면 창원·진주 경상대병원이나 부산 양산대병원이 환자를 받아주기로 돼 있었다”며 “대구·경북 지역의 초기 혼란은 국립대 병원들이 평소 지방의료원과 협조체계를 구축하지 못한 점과도 무관하지 않다”고 짚었다.
황 원장은 지방의료원들이 감염병 위기에 제대로 대응하려면, 정부가 초기 의료원 건설 및 의료장비 확충 때만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이후 병원 운영도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음압병실 1개당 유지비가 연간 수천만원에 이른다”며 “애초 수익성과 상관없이 확충한 공공의료 자원에 대해서는 정부가 유지비를 지원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창원/최하얀 기자
ch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