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전 광주 북구 일곡중앙교회 주차장에 마련된 선별진료소에서 방역당국 관계자가 교인들을 상대로 코로나19 검체를 채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기 의정부시 아파트와 광주 광륵사발 집단감염 등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산이 전국 곳곳에서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신규 확진자의 절반에 가까운 환자(27명)이 국외유입 과정에서 확진되면서 국내 지역사회 확산에 끼칠 영향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방역당국은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의 상향 조정에 대해선 “해외유입(감염)도 억제시키는 것이 바른 방향”이라면서도 지역사회 감염 숫자를 우선 고려할 것이란 입장을 밝혔다.
4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집계를 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가 전날 같은 시각보다 63명 증가했다. 감염경로를 보면 63명 가운데 36명은 지역사회 감염사례이고, 27명은 국외에서 유입됐다. 지역사회 발생 신규 확진자 수가 50명을 넘은 것은 지난달 18일(51명) 이후 보름 만인 3일(63명)에 이어 이틀 연속이다. 앞서 방대본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1∼3단계로 분류해 발표하며, 지역사회 중심으로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2주 평균 50명 이상을 넘어서면 2단계로 전환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방역당국은 이틀 연속 신규 확진자 수가 50명을 넘어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높여야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 “상황이 엄중하지만, 단계 상향은 침착하게 판단하게 될 것”이란 입장이다. 권준욱 방대본 부본부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지역사회 감염과 국외유입 사례를) 같은 비중을 두되 사회적 거리두기의 단계 상향 등을 판단할 때는 지역사회(감염)를 우선해서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지역사회와 국외유입 사례를 더한 일일 신규 확진자가 50명을 넘었다고 하더라도, 국내에서 발생한 지역사회 전파 속도를 기준으로 위험도를 우선 평가하겠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상향 여부를 검토하는 데 있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자 분석 결과가 중요하다는 게 방역당국의 설명이다. 전국 각지에서 산발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감염이 5월 초 발생한 서울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의 여파라면 현재 수준의 1단계를 유지할 수 있지만, 유전자 계통이 다른 새로운 유행이 동시다발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것이라면 단계 상향 조정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국외 입국 과정에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들의 상당수는 ‘취업’ 목적의 입국자인 것으로 보인다. 이날 발생한 27명의 국외유입 확진자의 유입 국가를 보면, △카자흐스탄 12명 △유럽 4명 △파키스탄 3명 △미주 3명 등이다. 권 부본부장은 “(입국 목적은) 대체적으로는 취업 부분이 많은 상황이고, 이어서 유학이나 어학·직업연수 등의 순”이라고 설명했다.
선담은 기자
s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