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인천국제공항이 코로나19 여파로 한산한 모습이다. 이날 문화체육관광부가 국회에 제출한 업무보고 자료에 따르면 지난 달 말까지 해외여행 취소율이 72%로 손실금액은 3조463억원으로 추정됐다. 연합뉴스
유흥주점이나 파티 게스트하우스처럼 휴가철 코로나19 집단감염 위험이 큰 일부 다중이용시설은 면적 4㎡당 1명으로 이용인원이 제한되는 등 방역수칙이 강화된다. 지난 5월 초 황금연휴가 끝나자마자 서울 이태원 클럽 등을 중심으로 코로나19가 확산됐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함이다.
2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기존 12개 고위험 유흥시설은 물론, 클럽처럼 파티를 할 수 있고 음식·주류를 제공하는 게스트하우스 등 다중이용시설의 방역을 강화하라고 지방자치단체장들에게 권고했다. 중대본은 권고와 함께 △이용인원 제한 △3시간 운영 뒤 1시간 휴식과 같은 시간제 운영 △이용객 집중 시간대 사전예약제 실시라는 3가지 ‘강화된 방역수칙 지침’도 전달했다. 마스크 착용, 이용자 증상 확인 등 기존 핵심 방역수칙에 더해지는 조처다. 이를 지키지 않은 시설은 감염병예방법에 따라 300만원 이하 벌금을 내거나 집합금지 대상이 될 수 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전국적으로 고위험시설을 추가 지정하지 않고 지자체장 판단에 맡긴 것은, 지역마다 위험도가 다르고 방역당국이 미처 파악하지 못한 위험시설을 지자체는 알고 있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은 이날 “휴게소, 음식점에서는 최소 시간 머무르고, 발열·호흡기 증상이 있으면 여행을 가지 말아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지역감염 9명, 국외유입 16명이다. 귀국한 이라크 노동자들과 러시아 선박 선원들의 전수검사가 일단락되면서 국외유입 신규 확진자 수는 25일 86명, 26일 46명에서 크게 줄었다. 그러나 전세계적인 코로나19 확산세 영향으로 외국인 환자는 계속 누적될 전망이다. 중대본은 외국인 환자 관리 부담을 줄이기 위해, 14일 격리 동안 머무르는 임시 생활시설의 수납, 민원 응대, 통역, 입·퇴소 관리 등 일부 업무를 호텔이나 여행사 등 민간에 위탁하겠다고 밝혔다. 입·퇴소 결정, 위급상황 대응, 질서유지 등 중요 업무는 공공인력이 계속 담당한다. 이날 기준 외국인 환자 임시 생활시설은 전국에 14곳(4378실)이 있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