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영향으로 1회 평균 음주량과 음주 빈도는 줄었지만 ‘혼술’과 ‘홈술’은 증가하는 등 음주 트렌드가 바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달 4일부터 11일까지 전국 만 15살 이상 국민 가운데 최근 6개월 이내 술을 마신 경험이 있는 2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더니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24일 밝혔다.
조사 결과, 코로나19 전후 술 마시는 빈도에 변화가 있다는 응답자는 35.7%나 됐다. 이 가운데 매일 마시는 경우는 2%에서 1.2%로, 주 5~6회 음주는 3.8%에서 2.7%로, 주 3~4회는 12.9%에서 6.4%로, 주 2회는 19.7%에서 15.5%로 각각 감소했다.
특히 술을 마시는 장소에 변화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36.2%였는데, 코로나19 이전에는 주로 주점·호프집(82.4%), 식당·카페(78.9%) 등 외부 영업시설이 대부분이었으나, 코로나19 이후에는 자신의 집(92.9%), 지인의 집(62.9%), 식당·카페(35.8%) 순으로 바뀌었다. 게다가 술을 함께 마시는 상대가 바뀌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20.3%였는데, 코로나19 이전에는 친구·선후배(90.0%), 직장동료(72.8%)였지만, 코로나19 이후 혼자(81.9%), 가족·배우자(76.7%)로 변화했다.
1회 평균 음주량은 소주 5.4잔, 맥주 4.4잔, 탁주 2.7잔, 과실주 2.9잔 등으로 3년 전 조사 결과(소주 6.1잔, 맥주 4.8잔, 탁주 2.9잔, 과실주 3.1잔)에 견줘 전반적으로 줄었다. 지난 6개월 동안 주로 마셨던 주류도 맥주(94.6%), 소주(77.1%), 탁주(52.3%). 과실주(31.5%) 순이었다. 이 가운데 탁주는 2017년(38.6%)에 견줘 선호도가 늘었고, 특히 20대(25.8%→45.6%)와 60대(47.7%→59.2%)에서 선호도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서혜미 기자
ha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