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노조 “노동시간 단축하겠다”…정부·재계, 부정적
전국금속노동조합이 8일 정부와 기업에 ‘노동시간 단축을 통한 일자리 나누기’를 제안하며 노-정 교섭 등 대화를 요구했다. 그러나 임금 동결 등 노조 쪽의 구체적인 고통분담 제안은 내놓지 않았다. 정부와 사용자단체는 “진정성이 없다”며 대화 제의를 사실상 거부했다.
[현장] 금속노조, 일자리 나눌테니 고통분담하자
[%%TAGSTORY1%%]
금속노조는 이날 서울 영등포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금속노조 사회선언’을 발표해 “세계 최장인 노동시간을 단축해 일자리 만들기에 힘쓰겠다”며 “재벌은 곳간을 열고 정부는 노동자·서민의 생존권을 보장할 정책을 펴야 한다”고 밝혔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산하 최대 산별노조인 금속노조에는 자동차·조선 등 업종에서 노동자 15만여명이 조합원으로 가입해 있다.
금속노조는 ‘5대 요구’로 △모든 해고 반대와 총고용 보장 △노동시간 단축을 통한 일자리 창출 △재벌기업의 잉여금 사회 환원 △국민 기본생활 보장 △제조업·중소기업 기반 강화를 정부·기업에 촉구했다. 일자리 나누기를 위해 금속노조는 “주간 연속 2교대제를 시행하고, 현재 연평균 2530시간인 노동시간을 2200시간 이하로 제한하자”고 제안했다.
금속노조가 이날 구체적인 고통분담 방안을 내놓지 않은 것과 관련해, 정갑득 금속노조 위원장은 “정부가 대화에 나선다면, 교섭장에서 (임금 동결·삭감 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며 “교섭 이전에 임금동결 선언을 해 놓고 뒤통수를 맞는 일은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금속노조는 또 “비정규 노동자의 고용안정을 위해 모든 해고를 금지하고 노동자들의 총고용을 보장해야 한다”며 정부에는 고용유지 지원금을 늘릴 것을, 사용자 쪽엔 산별 차원의 고용안정 기금을 조성할 것을 촉구했다. 1천억원 이상 잉여금을 쌓은 대기업은 잉여금의 10%를 비정규직 고용안정기금 등으로 출연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한국경영자총협회는 보도자료를 내어 “임금 삭감 없는 일자리 나누기는 불가능한데, 금속노조가 고통분담 없이 구조조정만 거부하려고 한다”고 비판했다. 송영중 노동부 기획조정실장은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금속노조의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아, 현실적으로 대화 여건이 만들어지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