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석행 위원장 등 민주노총 지도부가 ‘성폭력 파문’의 책임을 지고 모두 총사퇴한 9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열린 중앙집행위원회 회의에서 산별연맹위원장과 간부들이 침통한 표정을 짓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내부수습에 총력…신뢰 회복이 관건
11일 중집회의에서 비대위 구성…강경투쟁 선회할수도
피해자쪽 “전교조 추가조사·지도부 사퇴 요구 않겠다”
11일 중집회의에서 비대위 구성…강경투쟁 선회할수도
피해자쪽 “전교조 추가조사·지도부 사퇴 요구 않겠다”
민주노동조합 총연맹이 9일 지도부가 총사퇴함에 따라 중대한 ‘고빗길’에 들어섰다. 성폭력 사건으로 ‘도덕성’에 치명타를 입은 조직 내부를 어떻게 추슬러 내느냐에 따라, 이후 노-정 관계에서 민주노총의 좌표가 정해지기 때문이다.
[현장] ‘성폭력 파문’ 민주노총 지도부 총사퇴 [%%TAGSTORY1%%]
당분간 민주노총의 ‘표류’는 불가피해 보인다. 민주노총은 9일 오후 연 중앙집행위원회에서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를 꾸리고 오는 4월 위원장 보궐선거를 치르기로 했다. 민주노총 규약에 위원장 유고 때 두 달 안에 대의원대회를 소집해 새 위원장을 뽑도록 돼 있고, 6개월 이상 임기가 남아 있으면 보궐선거를 치르게 돼 있다. 이석행 위원장 임기는 올해 말까지다. 보궐선거로 선출된 위원장은 12월까지 남은 임기를 맡게 된다.
민주노총은 비대위 구성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이날 중앙집행위 회의를 주재한 김종수 강원본부장은 “산별연맹 위원장·지역본부장 등 9명이 비대위원으로 추천받았고, 오는 11일 중집 회의에서 이들 가운데 비대위 위원장을 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날로 심각해지는 경제위기 상황에서 민주노총 지도부의 갈등과 ‘혼선’이 길어질수록, 비정규직법 개정이나 실업 문제 등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할 것이란 우려도 체제 정비를 재촉하는 요인이다.
민주노총 지도부가 총사퇴하고 ‘비대위 체제’를 꾸린 것은 이번이 네번째다. 앞서 2002년 발전노조 파업 합의문에 대한 반발, 2005년 수석부위원장의 금품 수수사건 등으로 비대위가 구성된 바 있다.
이번 파문으로 이석행 위원장 등 비교적 온건한 노선인 ‘국민파’가 물러나면서, 강경한 대정부투쟁을 강조하는 ‘현장파’나 ‘중앙파’가 이후 목소리를 높일 가능성도 점쳐진다. 그러나 김성희 한국비정규노동센터 소장은 “민주노총이 위기를 헤쳐나가려면 범정파적인 비대위를 구성해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며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체제가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종수 강원본부장도 이날 “정파와 상관없는 통합 집행부를 꾸릴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민주노총 간부들의 성폭력 사건 ‘은폐’ 의혹과 사건 내용을 언론에 유출해 ‘2차 피해’를 줬다는 의혹 등에 대한 진실 공방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날 중앙집행위원회는 2차 가해 당사자를 가려낼 진상조사를 벌이기로 결정했다. 피해자 쪽을 대리하는 오창익 인권실천시민연대 사무국장은 “사건을 은폐하고 사건 내용을 언론에 유출한 민주노총 간부들에 대한 수사 의뢰 여부는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피해자가 소속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으로 파문이 번져가는 것과 관련해, 오 사무국장은 “전교조의 새로 바뀐 현 지도부는 사건과 무관하기 때문에 사퇴를 요구하지 않겠다”며 “전교조 자체 진상조사위원회 구성·활동도 2차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반대한다”고 밝혔다.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영상/박수진 피디 jjinpd@hani.co.kr
한편, 민주노총 간부들의 성폭력 사건 ‘은폐’ 의혹과 사건 내용을 언론에 유출해 ‘2차 피해’를 줬다는 의혹 등에 대한 진실 공방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날 중앙집행위원회는 2차 가해 당사자를 가려낼 진상조사를 벌이기로 결정했다. 피해자 쪽을 대리하는 오창익 인권실천시민연대 사무국장은 “사건을 은폐하고 사건 내용을 언론에 유출한 민주노총 간부들에 대한 수사 의뢰 여부는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피해자가 소속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으로 파문이 번져가는 것과 관련해, 오 사무국장은 “전교조의 새로 바뀐 현 지도부는 사건과 무관하기 때문에 사퇴를 요구하지 않겠다”며 “전교조 자체 진상조사위원회 구성·활동도 2차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반대한다”고 밝혔다.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영상/박수진 피디 jjinp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