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전문가 3명 등 5명 구성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중앙 간부의 성폭력 사건’을 은폐·축소했다는 의혹에 대해 본격적인 진상 규명에 나섰다. 민주노총 성폭력 사건 진상규명특별위원회는 19일 저녁 첫 회의를 열어, 구체적인 조사 내용과 진상규명특위 역할 등을 확정했다고 20일 밝혔다.
진상규명특위는 성폭력 사건 발생 전후로 민주노총의 사건 처리 과정을 살피고, 몇몇 간부들이 은폐·축소를 시도했는지 여부를 중점적으로 조사한다. 앞서 피해자 쪽은 “간부들이 찾아와 ‘이런 사실이 알려지면 조직이 심각한 상처를 받는다’고 회유하고 압박했다”고 주장했다. 진상규명특위는 이전 사건 조사 내용을 검토하고 관련자를 면접 조사할 예정이다.
또 성폭력 사건 재발 방지를 위해 민주노총의 성평등 문화를 진단하고, 성 인지적인 조직문화 혁신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도 내놓기로 했다. 진상규명특위는 김인숙 변호사, 이임혜경 한국여성민우회 성폭력상담소장, 엄혜진 세계화반대여성연대 활동가 등 외부 전문가 3명과 배성태 민주노총 경기본부장 등 모두 5명으로 구성됐다. 진상규명특위는 위원장 없이 공동위원 체제로 보름 동안 활동한 뒤, 다음달 4일 결과보고서와 권고안을 제출할 계획이다.
한편, 임성규 민주노총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은 지난 19일 “각 정파 대표, 시민사회단체, 노동계 인사들이 참여하는 ‘민주노총 혁신을 위한 열린 토론회’를 연 뒤, 중장기적인 대안 마련을 위한 ‘노동운동 혁신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말했다.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