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한국타이어 조사 뒤 작업환경 개선책 내놔
유가족 등 “역학조사 제대로 안돼 대책 미흡” 반발
유가족 등 “역학조사 제대로 안돼 대책 미흡” 반발
노동자들의 잇따른 돌연사 논란을 불렀던 타이어 제조업체들에 대해, 노동부가 고무흄 같은 분진의 농도를 관리하고 자체 작업환경 개선 계획에 마련해 시행하도록 했다. 노동부는 16일 “한국타이어에 대해 2007년과 2008년 두 차례 역학조사를 한 결과 작업환경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됐다”며 노동자 건강관리 대책과 후속 연구를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100인 이상 타이어 제조 사업장들에겐 작업 과정 중 발생하는 미세먼지인 고무흄의 노출 농도를 영국 기준인 0.6㎎/㎥ 이하로 관리하도록 권고했다고 노동부는 밝혔다. 또 각 업체가 노동자를 대상으로 뇌·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도 평가를 시행해 고위험군 노동자의 건강을 따로 관리하도록 했다.
한국타이어·금호타이어·넥센타이어 등 대형 업체는 작업 중 발생하는 고열과 고무흄 농도를 줄이기 위한 ‘작업환경 개선 및 보건관리 계획’을 다음달까지 마련해 시행하도록 했다.
임영섭 노동부 근로자건강보호과장은 “관련 법률에 고무흄 노출 제한 기준이 없어서 행정지도를 통해 관리한다는 방침”이라며 “작업환경 개선이 미흡하면 산업안전·보건 전반을 점검해 조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유가족과 관련 단체들이 이번 대책의 근거가 된 산업안전보건공단의 역학조사 결과를 인정하지 않고 있어 논란은 지속될 전망이다. 한국타이어 공동대책위원회는 “제대로 된 역학조사 없이 나온 이번 대책은 제대로 된 대책이라 할 수 없다”며 역학조사 재실시를 촉구했다. 고은아 한국타이어 공동대책위 사무국장은 “산업안전보건공단은 한국타이어에서 돌연사가 집중적으로 발생했던 1990년 후반에서 2006년까지 작업환경을 제대로 조사하지 않았다”며 “조직문화 조사 등도 회사가 추천한 인사에만 한정적으로 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산업안전보건공단은 한국타이어를 상대로 한 역학조사에서 ‘고무흄 등 작업장 환경과 노동자들의 돌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고 결론 내려 유가족과 관련 단체들이 반발해 왔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