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노동

금융권 등 10여곳 “정규직 전환, 성공적 선택이었다”

등록 2009-07-06 07:11수정 2009-07-08 18:49

민주노총 소속의 비정규직 해고 노동자들이 지난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한나라당 규탄 집회에서 동료 비정규직 해고 노동자의 피해 사례 증언을 듣고 있다.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민주노총 소속의 비정규직 해고 노동자들이 지난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한나라당 규탄 집회에서 동료 비정규직 해고 노동자의 피해 사례 증언을 듣고 있다.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은행권 2만679명…유통업계 1만 3400여명 ‘전환’
“회사쪽 별 부담 없이 생산성 올라가
긴 안목에선 회사 자산가치 높아져”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더니) 생산성도 올라가고 조직 융화에도 도움이 됐다. 회사 쪽에 별 부담은 없었다.”

2007년 비정규직 3076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한 우리은행 관계자의 평가다. 우리은행은 당시 은행창구직·전화상담직에 대해 별도 직군을 만들어 모두 정규직으로 흡수했다. 이 관계자는 “임금은 정규직보다 낮지만, 출산·육아휴가나 교통비·식대 지급 등 복지 혜택에서는 정규직과 같다”고 말했다. 추가 복리후생비는 당시 노조가 정규직 임금인상분 320억원을 양보한 것으로 충당했다. 회사에 직접 비용 부담은 크지 않았던 셈이다.

5일 <한겨레>가 2007년 비정규직법 시행 이후 정규직(무기계약직 포함) 전환에 나선 기업 10여곳을 접촉했더니, 대부분 “성공적인 선택”이라는 평가를 내놨다.

금융권은 일찌감치 ‘인건비 절감’을 위해 비정규직을 교체 사용하는 대신 노사 합의를 통해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집계로는, 법 시행 뒤 시중은행에서만 2만679명이 정규직 또는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됐다. 무기계약직은 임금이 기존 정규직에 못 미치지만, 고용 보장과 복지 혜택에선 정규직과 차이가 없다. 국민은행은 지난 5월 비정규직 6769명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했고, 신한·외환은행도 1000명 이상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했다. 앞으로 인사평가를 통해 무기계약직에서 다시 높은 단계의 기존 정규직군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길도 열었다. 은행들은 나머지 비정규직들도 계약기간 2년이 넘으면 무기계약직화할 방침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고용 유연성이 확보 안 되는 측면도 있지만, 직원들의 사기가 올라가고 금융사고 위험이 줄어든 점 등이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4
4

‘이랜드 사태’로 여론의 뭇매를 맞았던 유통업계는, 서비스의 질이 중요한 업종의 특성상 정규직 전환을 선호한다. 신세계는 2년 동안 계산원, 매장관리 비정규직 6000여명을 분리 직군을 만들어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이들의 임금은 일반 사무직보다 적지만, 의료비·학자금 지원 등이 늘어 1인당 실질소득은 20%가량 증가했다. 신세계 관계자는 “연간 150억원의 추가 비용이 들지만 계산 착오 등 업무 실수가 줄었다”고 평가했다. 홈플러스도 연간 100억원의 비용을 들여, 현재까지 계산원 4000여명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했다. 롯데마트도 계산원 2700명을 무기계약직화했다.

유통업계의 경우, 비정규직 한 명을 정규직화하는 데 추가로 지불한 비용은 1인당 연간 250만원 안팎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단순히 ‘인건비 부담’으로 환산할 수 없는 가치를 얻었다고 업체 관계자들은 말한다. 신세계 관계자는 “사원들의 회사 만족도가 높아졌고 이는 곧 업무 효율성의 증대로 이어지고 있다”며 “긴 안목에서는 회사의 자산 가치가 높아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노조 오치화 선전부장은 “직장 내 갈등 해소와 조직 통합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얻어낸 것은 사업주로서도 이익”이라며 “무기계약직이 ‘반쪽짜리 정규직’이란 비판도 있지만, 비정규직의 고용 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해결방안”이라고 강조했다. 노조 쪽은 무기계약직이 정규직 노조에 가입하면, 임금 차별 등도 줄여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성희 한국비정규노동센터 소장은 “정규직화에 따른 기업의 비용 부담만 강조할 것이 아니라 정규직화로 인한 생산성 향상과 내수 증대 등의 이익도 함께 따져 한다”며 “임금은 그대로 둔 채 고용을 보장하는 무기계약직 전환은 오히려 기업으로선 길게 볼 때 남는 장사”라고 말했다.

황예랑 김수헌 이정연 기자 yrcom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