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협약임금 인상률 추이
노동부 올해 상반기 분석…임금 동결·삭감 절반
올해 상반기까지 노사가 합의한 임금인상률은 1.4%로, 외환위기 이후 최저로 나타났다. 지속적인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많은 사업장에서 임금을 동결하거나 삭감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노동부는 “지난 6월까지 임금협상을 타결한 100명 이상 사업장 2451곳의 임금인상률을 분석한 결과, 평균 인상률은 지난해 상반기 임금인상률 5.1%보다 3.7%포인트 떨어진 1.4%로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외환위기가 한창인 1998년과 1999년 상반기에 각각 -3.4%와 1.4%의 임금인상률을 보인 이래 최저치다. 2000년 이후 상반기 임금인상률은 4~7%대를 기록했다.
노사가 합의해 임금을 동결하거나 삭감한 사업장도 절반 가까운 1129곳(46.1%)에 이르렀다. 지난해 상반기 149곳보다 7.6배 늘어난 수치다. 1998년과 1999년에는 각각 86%(2056곳)와 56%(1276곳)가 임금을 동결하거나 삭감했다.
임금인상률을 사업체 규모별로 보면, △5천명 이상 사업장이 0.3%로 가장 낮았고 △1천명~5천명 미만 1.5% △500명~1천명 미만 1.1% △300명~500명 미만 1.9% △300명 미만 2.1%를 기록했다. 임금교섭을 이미 마친 사업장도 전체의 36.1%에 이르러,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9.4%포인트 높았다. 예년보다 임금협상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조사는 노사가 임금협상을 통해 정한 협약임금 인상률로, 근로기준법상 모든 임금을 뜻하는 명목임금 상승률과 다르다. 협약임금에는 정액급여와 고정상여금이 포함되지만, 초과급여·특별상여금 등은 제외된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