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쪽 “대타협 원칙 선다면 구조조정 등 논의”
사쪽 “노조, 정리해고 일부 수용땐 철회용의”
사쪽 “노조, 정리해고 일부 수용땐 철회용의”
쌍용자동차 사태가 막바지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노사가 이견을 좁혀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극적 타협을 이뤄낼지 주목된다. 한상균 금속노조 쌍용차지부장은 지난 27일 <한겨레>와 한 인터뷰에서 “금속노조 쌍용차지부가 주체가 되고 대타협 원칙만 세워진다면 회사 쪽이 제시한 분사, 영업직 전환 등의 다양한 구조조정 방식을 실무협상에서 논의할 수 있고 많은 진전을 이뤄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1명의 정리해고도 없는 총고용 보장’이라는 지금까지 요구와 달리, 모든 가능성을 열어둔 제안인 셈이다.
회사 쪽도 지난달 노조에 제시했던 최종안의 수정 가능성을 이미 밝혔다. 지난주 중재단과 만난 자리에서 쌍용차 류재완 상무는 “6월8일자로 정리해고가 이뤄졌지만 얼마든지 철회할 용의가 있다. 다만 노조가 정리해고를 일부라도 수용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회사 쪽의 한 관계자는 “최종안에서 제안했던 무급휴직 100명의 수를 더 늘릴 수 있다”며, 정리해고 대상의 축소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밖에서 보듯 완전히 상호 접촉이 끊겨 있는 건 아니다”라고 말해, 노조 쪽과 물밑 대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내비쳤다.
노사는 최대 쟁점인 정리해고와 관련해서도 전에 비해 유연한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노사의 이런 움직임은 이대로 가다간 ‘파국’밖에 없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한 때문으로 보인다.
3800억여원의 채권을 가진 부품업체들 모임인 ‘협동회’는 다음달 3일 법원에 조기 파산신청을 내겠다고 이날 회사에 통보했다. 이들은 29일 평택시 송탄공단에서 변호인과 함께 대책회의를 열고 파산신청에 대한 법률적 검토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채권단은 현재의 쌍용차를 파산시키고 새로운 법인을 출범시키면 출자하겠다는 뜻을 내비치고 있지만, 쌍용차의 사업구조상 결국 파산은 기업의 ‘공중분해’로 갈 수밖에 없다. 김영희, 평택/홍용덕 기자 do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