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원 총투표서 ‘통합’ 89%·‘가입’ 68% 찬성
전국공무원노동조합(전공노), 민주공무원노동조합(민공노), 법원공무원노동조합(법원노조) 등 3개 공무원노조가 조합원 총투표를 통해 통합과 민주노총 가입을 가결시켰다. 이에 따라 조합원 11만명의 거대 공무원노조가 탄생했으며, 올해 케이티(KT), 쌍용차 노조 등의 탈퇴로 수세에 몰려온 민주노총의 활동에도 힘이 실리게 됐다. 공무원노조의 이번 투표를 사실상 방해해온 행정안전부는 “투표 과정에서 벌어진 불법행위에 대해 엄중 조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 세 노조는 22일 밤 9시 서울 영등포구 민주노총 1층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난 21일부터 이틀 동안 열린 조합원 총투표에서 세 노조 통합과 민주노총 가입 안건이 모두 가결됐다”며 “투표율은 10만9433명 가운데 8만2911명이 참여해 75.8%였으며, 통합에 대해 89.6%, 민주노총 가입에 대해서는 68.4%가 찬성했다”고 밝혔다. 손영태 전공노 위원장은 “세 공무원 노동조합의 이번 통합은 이명박 정권의 노동계 탄압과 반노동자 정책이 가져온 결과”라며 “공무원노조는 이명박 정부를 심판하는 힘 있는 통합 노조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 노조는 오는 10월까지 조직 통합을 마치고, 올해 안으로 통합 노조 설립 신고를 끝마칠 예정이다.
현재 전공노는 4만8055명, 민공노는 5만3399명, 법원노조는 7979명의 조합원을 보유하고 있어 통합된 노조의 조합원은 모두 10만9433명에 이른다. 이는 군무원과 교사를 제외한 전체 공무원의 21%에 이르는 규모다. 민주노총 산하 연맹 가운데 금속노조(14만7000여명), 공공노조(14만2000여명)에 이어 세 번째로 크다. 민주노총은 이미 가입한 전공노 외에 민공노와 법원노조 조합원 6만1378명이 추가로 가입함으로써 전체 조합원 수가 68만여명으로 늘어났다. 최근 케이티, 쌍용차 노조의 잇따른 탈퇴로 타격을 받은 민주노총은 11만명의 조합원을 가진 통합 공무원노조가 새로 가입함에 따라 활력을 얻을 전망이다.
그러나 민주노총을 불온시하고 공무원노조의 투표를 방해해온 행정안전부는 세 노조의 통합이 확정된 뒤 “이번 투표 과정의 위법·불공정 투표 사례와 불법행위를 철저히 조사해 엄중 조치할 것”이라며 “앞으로 공무원노조가 민주노총과 연대해 불법활동을 벌이면 법에 따라 단호히 대처할 방침”이라고 강경한 태도를 고수했다. ‘쌍용차 사태’를 통해 민주노총에 공세를 펼쳐온 정부와 11만명 공무원노조의 합류로 힘을 얻은 민주노총 사이에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
김경욱 이완 기자 da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