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묘 요시오미 일본노동안전위생센터연락회의 의장
덴묘 일 노동건강시민연합체 의장
“일 질병 휴직자 절반은 정신장애
노동강도 완화 등 근본대책 필요”
“일 질병 휴직자 절반은 정신장애
노동강도 완화 등 근본대책 필요”
“일본 노동자 가운데 질병으로 한달 이상 휴직한 사람의 절반가량이 정신장애입니다. 한국도 곧 그렇게 되거나 이미 그런 상황인지도 모릅니다.”
덴묘 요시오미(사진) 일본노동안전위생센터연락회의 의장은 지난달 28일 <한겨레>와 한 인터뷰에서 일본에서는 노동자들의 건강 문제 가운데 최근에는 직장 내 괴롭힘이나 동료 사이의 스트레스 등 정신질환이 가장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노동건강연대와 민주노총 그리고 서울대 보건대학원의 초청으로 지난달 27일 한국을 찾은 덴묘 의장은 민주노총 사무실 등에서 ‘일본 노동자의 정신건강 문제와 한국의 사례’ 등에 대해 주제 발표를 했다.
덴묘 의장은 의대 졸업 뒤 전문의 과정을 밟지 않고 곧바로 노동자 건강 전문병원에서 일을 시작했다. 1980년대 가나가와현 근로자의료생협 등에서 일하면서 노동자의 정신건강 문제를 다룬 것을 계기로 괴롭힘·정신건강 노동자지원센터의 고문을 맡았고, 산업재해·건강관리 등을 위해 일하는 시민단체들의 연합체인 연락회의 의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한국에서는 ‘왕따’로 알려진 ‘이지메’ 때문에 일본에서 직장을 떠나거나 심지어는 자살에 이르는 사례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특히 남성 노동자들 사이에서 건강 문제로 휴직하는 사례의 절반 이상이 정신건강 때문이며, 여성 노동자에게서도 50%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게다가 정신장애는 알려지기를 원하지 않는 사례가 많음을 고려하면 실상은 더욱 심각한 문제라는 것이다.
덴묘 의장은 “만성피로와 같은 증상도 사실은 과도한 노동, 수면부족 등에서 비롯되는 것이 대부분”이라며 “일시적인 스트레스 클리닉만으로는 해결이 어렵기 때문에 노동 강도를 줄이는 등 근본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국의 일부 대기업에서 노동자들을 위해 직무에서 오는 스트레스 지수를 진단하고, 이에 따라 쉼터 제공 같은 환경 개선 서비스를 하고 있는 것에 대해, 덴묘 의장은 부정적인 평가를 했다.
그는 “극단적인 사례일 수 있으나 일본에서 1천명을 고용하는 기업에서 정신과 의사를 고용해 직접 사내 클리닉을 운영한 적이 있다”며 “당시 1년 운영 예산이 1천만엔인데 단 1명만 이용했다”고 소개했다. 자신의 상태가 회사에 알려질 것을 두려워해 아예 이용 자체를 기피했다는 것이다.
덴묘 의장은 “노동자·노동조합·민주노총과 같은 연합체들이 이런 문제를 중점에 두고 노사 협의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글·사진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