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이주노동자들이 28일 오후 서울 종로 보신각 앞에서 ‘2013 이주노동자 노동절 집회’를 열어 노동 3권 보장과 고용허가제 폐지, 체류기간 연장 보장 등을 요구하며 을지로 국가인권위원회 앞까지 행진하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이주노동자 노동절 앞두고 집회
노동절(5월1일)을 사흘 앞둔 28일 이주노동자들이 ‘미등록(불법체류) 이주민 합법화’를 주장하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주공동행동, 외국인이주·노동운동협의회, 민주노총 등 이주·노동단체들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 보신각 앞에서 ‘2013 이주노동자 메이데이 집회’를 열어 “이주노동자들은 3디(D) 업종에서 일하면서 저임금과 장시간노동, 위험노동에 시달리고 있고 작업장과 사회에서 인종차별로 고통받고 있다. 한국 정부가 이주노동자들의 노동3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주노동자들은 노동절이 평일인 경우 쉴 수조차 없어 해마다 노동절을 앞둔 주말에 노동절 집회를 열어 왔다.
이들은 △이주여성에 대한 차별·착취·폭력 중단 △단속추방 중단·미등록 이주민 합법화 △최저임금 대폭 인상 △사업장 변경의 자유와 체류기간 연장 보장 등 주요 요구사항을 발표했다.
우다야 라이 서울경기인천이주노동조합 비상대책위원장은 “이주노동자 노동조합을 설립한 지 반년이 흘렀지만 한국 정부는 아직도 이주노동자를 노동자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조속히 이주노조를 합법화하고 차별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엄지원 기자
<한겨레 인기기사>
■ WP 등 미국 유력지들, 아베 ‘침략 부인 발언’ 비판
■ 판검사가 털어놓은 ‘수사 잘 받는 법’
■ 악마라는 말에…3살 딸 불태워 죽인 엄마
■ 홍준표 “오세훈과 비교 이해 안 간다”
■ 구미 9999명 ‘4대강 공사 피해’ 2만원씩 배상받는다
■ WP 등 미국 유력지들, 아베 ‘침략 부인 발언’ 비판
■ 판검사가 털어놓은 ‘수사 잘 받는 법’
■ 악마라는 말에…3살 딸 불태워 죽인 엄마
■ 홍준표 “오세훈과 비교 이해 안 간다”
■ 구미 9999명 ‘4대강 공사 피해’ 2만원씩 배상받는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