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7개 센터 무기한 파업
본사 대체인력 투입 반발 커져
“불성실 교섭땐 총파업 할수도”
본사 대체인력 투입 반발 커져
“불성실 교섭땐 총파업 할수도”
삼성전자가 만드는 휴대전화·냉장고·세탁기 등을 고치는 협력사 노동자들의 파업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지난 13일 부산·경남 8개 센터에서 처음 시작된 전국금속노동조합 삼성전자서비스지회의 파업에 28일 수도권 쪽 센터에 근무하는 노동자들까지 합세했다.
삼성전자서비스지회는 이날 경기남부 지역의 삼성전자서비스 5개 센터와 동인천센터·부천센터 등 수도권 7개 센터에서 일하는 협력사 노동자 180여명이 이날 오전 9시부터 파업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근로기준법 준수와 건당 수수료 폐지, 생활임금 보장, 임단협의 조속한 체결 등을 요구했다. 그동안 다른 지역 10개 센터의 파업이 하루짜리 경고파업에 그친 반면 이날 수도권 지역 파업은 기한을 정하지 않았다. 이로써 노조가 설립된 전국 56개 삼성전자서비스센터 가운데 파업에 참여한 센터는 17곳이 됐다.
노조는 회사 쪽이 적절한 대답을 내놓지 않을 경우 56개 센터 전체 노동자가 참여하는 총파업에 돌입할 방침이다. 홍명교 지회 교육선전위원은 “협력업체들로부터 교섭권을 위임받은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성실하게 교섭에 응하지 않고 있다. 상황이 바뀌지 않는다면 총파업도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까지 노동위원회의 조정까지 실패해 합법적인 쟁의권을 확보한 센터만 33곳에 이른다.
파업이 확산일로를 걷게 된 데는 삼성전자서비스 본사가 파업을 무마하기 위해 130여명의 ‘본사 인력’을 대체인력으로 내려보낸 탓이 크다. 노조 쪽은 “불법 대체인력”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은 “사용자는 쟁의행위 기간 중 그 쟁의행위로 중단된 업무의 수행을 위하여 당해 사업과 관계없는 자를 채용 또는 대체할 수 없다”(43조)고 규정한다.
본사 인력 투입으로 고객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도 나온다. 노조가 본사인력이 투입된 20·21일 부산 동래와 양산센터의 가전제품 수리실태 현황을 살펴본 결과, 로스율(수리불가, 서비스거부, 고장증상 재현불가 등 실제 수리를 하지 않는 비실적 처리건)이 평소(30% 수준)의 3배에 이르는 9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장신고 열에 아홉은 손도 대지 못한 것이다. 홍명교 위원은 “본사 인력 대다수가 수리에 대한 기본 기술조차 갖춰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서비스 관계자는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노조가 제시한 로스율 수치는 근거도 없을 뿐더러, 사실이 아니다. 파업으로 인한 고객불만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사에서 내려보낸 인력은 고도의 수리기술을 갖춘 전문가들이다. 또 원청업체에서 직원을 보낸 것은 노조법상이나 고용노동부의 행정지침상 불법 대체인력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정국 기자 jg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