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만 한국노총 위원장
김동만 새 위원장 회견서 밝혀
“공공기관 대책엔 민주노총과 연대”
“공공기관 대책엔 민주노총과 연대”
지난달 25일 취임한 김동만 신임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위원장이 4일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 회관에서 첫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의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에 대해 양대 노총을 뛰어넘는 연대와 투쟁을 조직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연말부터 철도노조 파업 탄압,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공권력 투입, 대법원의 통상임금 판결 및 정부지침 등 노동계를 자극하는 이슈들이 연이은 가운데 정부의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이 노-정 갈등에 또하나의 불씨가 될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낙하산 인사와 각종 지침을 통해 정부가 공기업을 마음대로 주물러 놓고 이제 와서 노동자에게 책임지라고 하는 것은 매우 뻔뻔한 것이다. 정부 정책 실패에서 비롯된 520조원의 부채를 노동자와 국민에게 전가시키고 노동자를 죄인 취급하고 있다”며 정부를 강력하게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한편으론 정부와의 대화를 재개할 의향도 내비쳤다. 현재 한국노총은 지난해 민주노총 공권력 투입에 항의해 모든 노-정 대화를 거부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정부가 일방통행을 중단하고 진정으로 노동계와 노동현안에 대해 대화하겠다는 전향적 태도를 보인다면 조직적 결의를 통해 언제라도 대화에 나설 용의가 있다”며 “통상임금, 노동시간 단축, 비정규직 문제 등 해결을 위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특별위원회를 설치할 것을 공식 제안하겠다”고 밝혔다.
공공기관 대책을 제외한 민주노총과의 공조 투쟁에 대해선 한발 물러난 입장을 보였다. 김 위원장은 “주요 노동현안에 대해서 양대 노총이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할 것이지만, 어디까지나 조직적 논의와 결의가 필요하다”며 “25일 민주노총의 국민총파업에 동참하는 것도 다음날로 예정된 한국노총 정기대의원대회 때문에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정국 기자 jglee@hani.co.kr, 사진 뉴시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