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를 하는 기혼 여성이 경력단절을 경험한 주된 이유는 아이를 믿고 맡길 곳이 없었기 때문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경력단절이란 취업했다가 혼인·임신·출산·육아·가사 등의 이유로 노동시장에서 떠난 경우를 말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은정 부연구위원 등은 21일 ‘자녀양육 실태 및 돌봄지원 서비스 개선방안’ 연구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2014년 8월 11일부터 9월 10일까지 시설보육 및 기타 보육서비스를 이용해 만 6세 이하 자녀를 키우는 30~40세 기혼여성 511명(맞벌이 355명, 홀벌이 156명)을 대상으로 자녀양육과 관련한 정책 수요를 면접조사했다.
조사결과, 맞벌이 여성의 30.1%(107명)가, 홀벌이 여성의 53.2%(83명)가 경력단절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을 경험한 맞벌이 여성은 그 이유로 ‘출산 후 아이를 믿고 맡길 곳이 없었던 점’(46.7%)을 첫손으로 꼽았다. 이어 ‘직장생활과 육아를 병행하기 어려워서’(19.6%), ‘결혼 ·임신·출산·육아로 인한 직장에서의 분위기 또는 불이익 때문’(12.1%), ‘아이를 직접 돌보고 싶어서’(6.5%), ‘출산 후 아이를 맡길 만큼 보수가 넉넉지 않아서’(5.6%) 등의 순이었다.
이에 반해 홀벌이 여성의 주요 경력단절 이유는 ‘직장생활과 육아를 병행하기 어려워서’(22.9%), ‘결혼 ·임신·출산·육아로 인한 직장에서의 분위기 또는 불이익 때문’(21.7%), ‘결혼 준비를 위해’(18.1%), ‘출산 후 아이를 믿고 맡길 곳이 없어서’(13.3%) 등이었다.
맞벌이와 홀벌이 여성 모두 공통으로 ‘직장생활과 육아를 병행하기 어려워서’ 경력단절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자녀양육을 위해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주된 사유로는 맞벌이 여성이 ‘부모가 직접 돌보기 어려워서’(69.2%)와 ‘사회성 발달을 위해서’(10.8%)를 고른 반면, 홀벌이여성은 ‘아이의 전인적 발달을 위해’(22.6%), ‘사회성 발달을 위해’(21.0%), ‘양육부담을 덜기 위해(16.1%) 등을 들었다.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