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전국 단위노조 대표자와 간부들이 23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역 광장에서 열린 ‘노동시장 구조개악 저지를 위한 결의대회’를 마친 뒤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까지 거리행진을 하고 있다. 이정용 선임기자 lee312@hani.co.kr
김대환 위원장 ‘해고요건 완화 등 중장기 과제 전환’ 중재안 내
18일 중앙집행위서 수용여부 결정
18일 중앙집행위서 수용여부 결정
김대환 노사정위원장이 김동만 한국노총 위원장을 만나 노사정 대화 결렬 원인이었던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과 해고 요건 완화 가이드라인을 중장기 과제로 전환하는 중재안을 제안했다. 한국노총은 오는 18일 중앙집행위원회(중집)를 열어 김 위원장의 제안을 수용할지를 결정하기로 했다. 한국노총의 노사정위 복귀가 사실상 초읽기에 들어갔다.
13일 한국노총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김동만 위원장은 11일 김대환 위원장을 만나 중재안을 제안받았다. 앞서 김동만 위원장은 김대환 위원장을 지난 10일 만나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해고 요건 완화 가이드라인에 대한 답을 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대환 위원장이 그 답으로 “한국노총의 두 가지 핵심 반대 의제를 중장기 과제로 전환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노사정위 복구가 급물살을 탔다. 김대환 위원장은 지난 4월 노사정위 노동시장 구조개편 논의 결렬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지난 7일 복귀했다.
이로써 한국노총이 참여하는 노사정 대화가 재개될 가능성이 매우 커졌다. 한국노총은 김대환 위원장의 제안과 노사정위 복귀 여부를 논의하기 위해 18일 중집을 열어 구체적인 논의를 하기로 했다. 한국노총 관계자는 “두 가지 핵심 의제를 중장기적으로 전환하면 노사정위에 복귀해서 논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또 다른 한국노총 관계자는 “지금 복귀하면 정부의 노동개혁안을 받아들이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노사정위 복귀에 반대하는 한국노총 금속노련 등은 중집 개최를 물리적으로 막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한편 현기환 청와대 정무수석도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농성 중인 김동만 위원장을 만나 노사정위원회 복귀를 설득했다. 김민경 기자 salm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