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3곳서 10만여명 참여
현대차-현대중 동시파업도
현대차-현대중 동시파업도
민주노총이 20일 정부가 추진중인 노동개혁과 성과연봉제를 반대하는 대규모 옥외 집회를 열었다. 울산에서는 현대자동차와 현대중공업 노동자 6만여명이 23년만에 공동 파업을 벌였다.
민주노총은 20일 오후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앞에서 ‘노동개악·성과퇴출제 폐기, 노동기본권 보장,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 석방’을 내걸고 1만여명이 모인 가운데 수도권 총파업-총력투쟁 집회를 열었다. 최종진 민주노총 위원장 직무대행은 대회사를 통해 “우리의 투쟁을 비정규직의 현실을 외면한 투쟁이라고 매도하고 있지만, 비정규직을 대량해고와 죽음으로 내모는 것은 정권과 자본”이라며 “총파업은 박근혜 정부의 불법을 막아세우는 정당한 투쟁”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서울 집회 참가자의 절반 이상은 ‘정부의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반대투쟁’을 벌이고 있는 공공운수노조 조합원들이었다. 조상수 공공운수노조 위원장은 “공공 노동자들이 노동자들의 쉬운 해고와 낙하산 사장의 돈벌이 경쟁 심화를 막아 공공서비스를 지켜내겠다”고 밝혔다.
지역에서도 총파업 집회가 열렸다. 이날 울산에서는 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 현대중공업 노조, 민주노총 플랜트 건설노조 등 노동자 5만8000여명이 파업에 돌입해 이중 8000여명이 태화강 둔치에서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대량해고 구조조정 반대 △재벌만 배불리는 산업 구조조정 중단 △사내유보금 환수·재벌 개혁 등을 주장했다. 거제·창원 등을 비롯한 조선소에서도 조선업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조선업종노동조합연대의 파업이 있었다.
민주노총은 이날 파업 또는 총력투쟁 결의대회에 참가한 인원이 전국 13곳에서 10만여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금속노조는 오는 22일 오후 서울 양재동 현대차 본사와 국회 앞에서 재벌개혁·노동개악 중단 등을 내세워 집회를 열 계획이다. 같은 날 저녁에는 서울 광화문에서 ‘재벌개혁 시민한마당’을 연다.
노동계의 ‘하투’는 ‘추투’로 이어질 전망이다. 공공운수노조는 철도·에너지공기업 민영화 반대 등을 내걸고 9월27일부터 철도·지하철 조합원이 참가하는 무기한 총파업을 결의한 상태다.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