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9월 노동시장 동향’
전년 동월 대비 7천명 느는데 그쳐
전체 취업자수 증가폭도 6년만에 최저
조선업은 3분기 들어 감소폭 확대
전년 동월 대비 7천명 느는데 그쳐
전체 취업자수 증가폭도 6년만에 최저
조선업은 3분기 들어 감소폭 확대
조선업 등 구조조정 탓에 제조업 취업자 증가폭이 두달 연속 1만명을 밑돌면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수준을 나타낸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의 부진 속에 서비스업이 취업자수 증가를 이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고용행정 통계로 본 9월 노동시장 동향’을 보면, 9월 상시노동자 고용보험 피보험자(취업자) 수는 1258만9000명으로 지난해 같은달에 비해 30만2000명(2.5%) 늘어났지만, 증가 폭은 2010년 10월(29만6000명)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규모 증가폭 둔화의 가장 핵심적인 요인은 취업자 수가 가장 많은 업종인 제조업의 증가율이 0.2%에 그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는 7000명 느는데 그쳤다. 이는 2009년 11월 6300명 증가한 이후 7년 만에 최저 수준의 취업자 증가폭이다. 특히 조선업이 포함된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의 경우, 지난해 같은달 대비한 취업자 수가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데, 감소폭이 7월 1만8000명, 8월 2만2000명, 9월 2만4000명으로 3분기 들어 크게 늘어나 실업대란이 현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업종의 전체 고용규모도 지난해 말까진 21만명에 달했으나, 지난달에는 10% 이상 줄어든 18만5000명에 그쳤다.
제조업 가운데 비중이 가장 큰(14.5%) 전자산업(전자부품·컴퓨터·통신장비)도 지난달 취업자수가 전년 동월 대비 1만5000명이나 줄어, 33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졌다. 스마트폰·전자제품 생산량 감소와 공장 해외이전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다만, 제조업 가운데 화장품이 포함된 ‘화학제품 제조업’의 경우 취업자수가 지난해 9월에 견줘 1만명 늘어난 22만 8000명으로 나타났다. 고용부 관계자는 “화장품 수출액이 늘면서 취업자수가 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제조업의 부진 속에 고용규모가 꾸준히 늘고 있는 것은 대표적인 저임금 업종인 숙박·음식업으로 지난해 9월 대비 12.1%나 늘었고,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5.4%), 도·소매업(5.2%) 순이었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사업장이 3만8000명(1.1%) 늘어난데 데 반해, 300인 미만 사업장의 취업자는 26만3000명(3.0%) 늘었다. 특히 29인 이하 사업장에서 22만9000명이 늘어 전체 취업자 증가분의 76.0%를 차지했다. 대기업보다는 중소·영세사업장 취업자수가 늘고 있다는 뜻이다.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