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종로3가역 출입문 표시등 고장에
후속조처 늦어져 1시간 반 지연
기관사·차장 모두 파업 대체인력
시민단체 “무리한 운행 위험 커져”
후속조처 늦어져 1시간 반 지연
기관사·차장 모두 파업 대체인력
시민단체 “무리한 운행 위험 커져”
철도노조의 파업이 21일째에 접어든 가운데, 파업 대체인력 관련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노조와 시민사회단체는 코레일의 대체인력 투입 중단을 요구했다.
17일 오전 ‘공공성 강화와 공공부문 성과·퇴출제(성과연봉제) 저지 시민행동’(시민행동)은 서울 용산구 코레일 본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민 안전을 위협하는 대체인력 투입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코레일은 철도 운행률을 수익성이 높은 케이티엑스 위주로 최대한 높이는데 주력해 관리자 등을 대체인력으로 투입하고 있는데 철도의 안전운행에 필요한 숙련과 경험이 부족해 안전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기간제 대체인력 채용 대상에 학생까지 포함돼있고, 대체인력 교육 부실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철도노조가 정리한 자료를 보면, 지난 12일에는 소요산행 전철에서 대체인력인 차장이 출입문을 미숙하게 다뤄 승객 2명이 출입문에 끼는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16일에도 용산발 여수행 케이티엑스가 출발하던 도중 대체인력 승무원이 출입문을 열어 열차가 비상정차하기도 했다. 17일 오전에도 군 출신 대체인력 기관사가 운행하던 인천행 급행 전철이 종로3가역에서 출입문 표시등 점등 불능 등의 사고가 발생한 뒤 후속 조처가 늦어져 1시간 30분 동안 1호선 열차운행이 지연되기도 했다. 코레일 관계자는 이날 사고에 대해 “전동차 자체의 문제이지 대체인력 기관사와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본다”며 “열차 안에 있던 승객이 출입문을 열고 나오는 바람에 후속 조처가 늦어졌다”고 밝혔다. 시민행동은 “코레일 쪽은 사고와 운행 장애 건수가 평상시와 같은 수준이라며 문제가 없다고 하지만, 무리한 운행이 거듭되면서 사고의 가능성은 점점 커질 수 밖에 없다”며 “2013년 파업 당시 대체인력을 차장으로 투입해 시민 한명이 목숨을 잃은 사고를 되풀이하지 않으려면 대체인력 투입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