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섭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왼쪽 셋째)과 최종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직무대행이 23일 오전 서울 창성동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등 고용·노동 정책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정책간담회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일자리위원회가 노사단체와 정부 관계자가 만나는 실무위원회를 1주에 한번씩 열어 노-사-정 대화창구를 가동하기로 했다. 또,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로드맵 작성 과정에도 노동조합의 의견을 듣기로 했다.
지난 21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첫번째 일자리위 회의가 열린데 이어, 일자리위는 23일 오전 서울 창성동 정부종합청사별관에서 민주노총과 정책간담회를 열어 이렇게 결정했다고 이날 밝혔다.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이용섭 일자리위 부위원장은 지난 21일 문 대통령이 노동계에 “정부에 요구할 것이 많겠지만 1년정도 기다려달라”고 한 말을 언급하며, “이제 두달도 되지 않았는데, 첫술에 배부를 수 없으니 민주노총이 조금 더 긴 호흡으로 함께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최종진 민주노총 위원장 직무대행은 “정책방향이 다르지 않다고 해도 정부의 할일과 노조가 할일이 있다”며 “기다려 달라는 말보다는 정부가 당장 할 수 있는 일들은 미루지 말고 추진해달라”고 당부했다.
예정된 1시간을 훌쩍 넘겨 3시간 남짓동안 중국음식을 배달시켜 먹으며 열린 간담회에서 일자리위와 민주노총은 노동계와 정부간 소통을 위해 노사단체들이 참가하는 실무위원회를 주 1회 열기로 했다. 또,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로드맵 작성에 노동계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도록 하고, 실무위에서 이를 논의하도록 했다. 일자리위 산하 전문·특별위원회 구성 과정에서도 민주노총 인사나, 민주노총이 추천한 인사를 포함하도록 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조선산업 구조조정과 관련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자고 제안했으나, 이 부위원장은 “일자리위 규정상 어렵고, 일자리 문제를 다루면서 필요한 경우 의견을 내겠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