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바게뜨 불법파견 문제 해결과 청년노동자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시민사회단체대책위워회' 회원들이 1일 낮 서울 서초구 양재동 파리바게뜨 양재동 본사 앞에서 합자회사(직접고용포기각서) '철회서' 전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들은 허위사실을 유포하여 강압으로 작성된 합자회사전직동의(직접고용포기각서)는 원천 무효라고 주장하며 파리바게뜨 본사의 직접고용을 요구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파리바게뜨 본사 직접고용 대신 본사-가맹점-협력업체의 합자회사(상생기업) 고용을 원한다는 내용의 ‘확인서’를 썼던 파리바게뜨 제빵기사 170여명이 이를 철회하겠다는 뜻을 1일 밝혔다. 그러나 파리바게뜨는 이런 움직임과 관계없이 이미 받은 확인서를 근거로 “제빵기사 5300여명 중 3700명이 합자회사로 소속이 바뀌는 사실에 동의했다”며 상생기업 출범을 공식 선언했다.
이날 낮 민주노총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조 파리바게뜨지회와 노동·시민사회단체 등은 서울 양재동 파리바게뜨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상생기업으로 소속을 옮긴다는 내용의 확인서 제출을 철회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본사와 일부 협력업체의) 강압에 의해 작성된 ‘직접고용 포기 확인서’는 원천 무효”라며 “이미 확인서를 낸 노동자 170여명이 철회서를 보내왔고, 일부 기사들은 불이익을 당할까 두려워 철회서를 보내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파리바게뜨 쪽에 철회서를 건네려 했으나, 회사 쪽은 “본사가 아니라 협력업체에 내라”며 받지 않았다.
파리바게뜨 제빵기사들을 고용하고 있는 11개 협력업체 관리자들이 1일 낮 서울 서초구 양재동 파리바게뜨 양재동 본사 앞에서 제빵기사 노동조합이 파리바게뜨의 직접고용을 주장하는 기자회견을 열자, 바로 뒤에서 “직접고용에 반대한다”는 시위를 하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앞서 파리바게뜨 쪽은 지난 9월 고용노동부가 대부분 협력업체 소속인 제빵기사 5300여명을 본사가 직접고용하라고 시정지시하자, 본사 대신 상생기업을 통해 제빵기사를 고용하겠다고 나섰다. 또한 본사와 일부 협력업체는 제빵기사를 상대로 설명회를 열어 ‘직접고용을 원하지 않고, 상생기업으로의 전적을 원한다’는 취지의 확인서를 받아 왔다.
실제 이 확인서를 토대로 파리바게뜨는 이날 상생기업 ‘해피파트너스’가 공식 출범했다고 밝혔다. 파리바게뜨는 보도자료를 내어 “제빵기사들의 70%인 3700여명이 본사 직접고용에 반대하고 있으며, 대부분 상생기업 소속 전환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상생기업 설립에 대한 요구가 높아 출범이 본격 결정됐다”고 했다.
고용부는 제빵기사가 상생기업 입사를 원한다는 뜻을 직접 밝혔다는 사실이 확인되면, 파리바게뜨에 이들에 대한 직접고용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파리바게뜨는 직접고용 의무 불이행에 따른 과태료 530여억원(1인당 1000만원) 가운데 370억여원을 절감할 수 있다.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