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박람회에서 구인정보를 살피는 신중년 구직자들. 한겨레 자료사진
정부가 지역의 사회서비스업을 중심으로 5060세대인 ‘신중년’ 일자리를 늘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최근 50~60대 고용률이 하락세를 보인 데 따른 것으로, 내년까지 4만명가량의 신중년한테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이 정부 계획이다.
27일 정부는 15차 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신중년 일자리 확충 방안’을 밝혔다. 신중년은 이미 퇴직했지만 계속 일하려는 50∼60대를 일컫는다. 지난해 기준 1378만명이며, 생산가능인구 3분의 1 규모다. 신중년 고용률은 지난해까지 꾸준히 늘었지만 올 들어 60대 초반을 중심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번 정부 대책의 핵심은 한국 사회 고도성장기에 주로 활동한 신중년의 높은 교육수준과 풍부한 경력을 지역 사회서비스 영역에서 활용하도록 지원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번에 신설한 ‘신중년 경력활용 지역서비스 일자리사업’을 통해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사회에 필요한 사회서비스 일자리에 신중년을 채용하면 인건비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노후 재무설계, 마케팅 교육 등 신중년의 퇴직 전 경력을 활용할 수 있는 업무가 주요 대상이다.
기존 월 30시간 한도에서 근무시간과 소득을 늘린 사회서비스형 노인일자리 사업도 새로 신설한다. 장애인 활동보조, 지역아동센터 학업지도 등의 일을 하게 된다. 주 15시간 이상 일하며 월 70만원 수준의 소득을 보장받는 일자리로, 2만명을 모집할 예정이다. 또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 사업은 예산을 100억원 늘려서 자율적으로 일자리 사업을 설계해 신중년을 채용하는 지자체를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민간의 신중년 일자리 창출도 촉진한다. 민간 기업에서 신중년을 채용하는 경우 지원을 확대하는 것인데, ‘신중년 적합직무 고용장려금’이 대표적이다. 안전관리 상담사, 박물관 해설사 등 84개 신중년 적합직무에 만 50살 이상 구직자를 채용하면 기업 규모별로 1년간 월 40만∼80만원을 지원받는데, 2천명이던 지원 규모를 올 하반기에 3천명, 내년에 5천명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앞으로 5년 동안 매년 200명의 신중년이 사회적 기업에 재취업할 수 있도록 교육 훈련 기회도 제공한다.
정부는 이날 발표한 신중년 일자리 대책으로 올 하반기부터 내년까지 4만3800여명이 지원을 받게 된다고 밝혔다. 이에 필요한 예산은 총 2714억9천만원으로 올해 1267억원과 견줘 두 배 이상 늘게 된다.
이지혜 기자
godo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