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문재인 정부 2기 내각의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재갑(60) 전 차관은 정통 관료 출신이다. 1981년 고려대 행정학과를 나와 서울대 행정대학원을 마친 뒤 1983년 3월 행정고시 26회로 공직에 입문해 2013년 3월 고용부 차관에서 퇴임할 때까지 만 30년을 고용부에서 공직 생활을 했다.
이 후보자는 고위공무원으로 승진한 2007년 고용부 국제협력국장을 지냈고, 이명박 정부 시절이자 세계경제위기가 발생한 2008년엔 고용정책실 고용정책관을 지내며 일자리나누기 등 각종 고용정책을 조율했다. 노조 전임자 근로시간 면제(타임오프) 한도 설정에 대한 노사정 합의, 복수노조법 시행을 위한 후속작업 등 굵직한 노동 현안이 있었던 2010년엔 노동정책실장으로 있었다. 이후 2011년 고용정책실장으로 자리를 옮겨 고졸 채용 확대 등의 정책을 폈고, 2012년 6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고용부 차관을 지냈다. 이후 2013년 10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3년 간 근로복지공단 이사장으로 재직했다. 공직생활 동안 주로 일자리 창출과 관련된 고용 정책을 챙겨온 셈이다. 주변과 두루 원만하면서도 업무를 꼼꼼하게 처리한다는 평가다.
경기 광주 출생이고 윤종원 청와대 경제수석, 정태호 일자리수석비서관의 고등학교 선배이기도 하다. 1985년 고려대 10대 총장을 지낸 이준범씨가 부친이다. 근로복지공단 이사장 재직 시절인 2016년 3월 공개된 재산은 8억7700만원가량이다.
이 후보자는 고용부를 통해 배포한 소감문에서 “일자리 사정이 좋지 않고 각종 고용노동 현안이 많은 상황에서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 받게 돼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 장관에 취임하게 되면 그 어느 때보다 일자리 문제가 절실하고 국민들의 기대와 열망이 큰 만큼, 모든 역량을 쏟아 해결의 실타래를 풀어 나가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자에 대한 노동계 반응은 부정적이다. 민주노총은 “고용노동부가 노동적폐 청산과 노동법 전면 제·개정에 앞장서야 할 시기에 이를 비껴가기 위한 무사안일 인사”라며 “재벌과 유착한 부패와 농단이 횡행했던 이명박-박근혜 정권 시기 거수기를 자임했던 고위관료를 발탁한 퇴행인사”라고 혹평했다. 한국노총은 “정부의 노동정책을 뚝심 있게 밀고 갈수 있을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산적한 현안 과제들을 소신있게 밀고 갈수 있을지도 의문”이라고 했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