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노동자들과 민주노총 금속노조 관계자 등이 4일 오전 서울 중구 금속노조 사무실에서 ‘대화거부, 댓글공작, 포스코의 노사관계 혁신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금속노조 포스코지회는 4일 서울 정동 금속노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회사 인사노무팀 직원들의 ‘댓글공작’이나 사고시 책임자를 ‘색출’하는 ‘반성회 관행’(<한겨레> 10월3일치 6면)말고도, “평소 회사가 군대처럼 수직적 조직문화를 만들어 직원들을 관리해왔다”고 주장했다.
지회는 “회사가 직원 간 상호감시체계와 수직적 위계문화를 만들어왔다”며 매달 1건씩 동료의 잘못을 지적하는 ‘자율상호주의’ 제도를 소개했다. 이 제도는 동료의 잘못을 구체적으로 적시한 전자우편을 한 달에 한 번 이상 회사에 보내는 내용이다. 노조 관계자는 “내용을 억지로 만들다보니 친한 동료들끼리 ‘지적질 품앗이’를 하게 된다”고 했다.
올 1월 포스코 포항제철소 하청노동자 4명이 산소공장 냉각탑에서 질식사하는 사고가 발생한 뒤, 회사 쪽이 직원을 대상으로 “한 사람당 현장 안전 개선방안을 1천개씩 내라”며 무리한 지침을 내렸다는 주장도 나왔다. 노조 관계자는 “고용부가 특별근로감독까지 벌인 사안인데도 회사는 현장에 적용하지도 않을 아이디어를 그렇게 모아 외부 보여주기식 사업에 썼다”고 밝혔다.
또한 지회는 회사 게시판을 통해 교대근무에 대해 비판 글을 올린 한 직원이 1년반 동안 공장의 쓰레기를 줍고 다닌 사례를 소개하며 “사내 게시판에 회사에 대한 비판을 하면 징벌적 인사 조치를 당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포스코쪽은 "자율상호주의는 현장의 현안에 대해 직원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도"라고 해명했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