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오전 서울 정동 민주노총에서 열린 ‘11월 총파업 돌입 선포’ 기자회견에서 엄미경 부위원장(맨 왼쪽)과 최준식 공공운수노조 위원장(왼쪽 세번째부터), 나순자 보건의료노조 위원장, 백석근 사무총장, 김명환 위원장 등 민주노총 지도부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노총이 정부의 공약 이행을 요구하며 다음달 21일 총파업에 들어간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은 25일 오전 서울 정동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적폐 청산과 노조할 권리를 위한 노조법 개정, 국민연금 개혁, 사회안전망 강화, 공공부문 비정규직 자회사 전환 저지, 제대로 된 정규직 전환 등 사회 대개혁을 위해 11월 총파업 투쟁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기자회견엔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과 각 산별노조 위원장 등 민주노총 지도부들이 참여했다.
민주노총은 이를 위해 “중앙위원회·대의원대회 결의를 마친 뒤 김 위원장을 비롯한 지도부의 현장순회와 각 가맹조직 결의를 통해 총파업 조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오는 27일 지역별 총파업 투쟁승리 결의대회를 연 뒤 30일 공공운수노조 국민연금지부의 경고파업을 시작으로 다음달 6천여명 이상의 조합원들이 참여하는 ‘공무원노조 연가투쟁’(11월9일)과 ‘건설산업연맹 총력 결의대회’, ‘전태일 열사 정신계승 전국노동자대회’(이상 11월10일) 등을 열어 총파업 전까지 크고 작은 투쟁 일정을 지속할 계획이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촛불의 요구였고 노동자들의 바람이었던 노동자의 삶과 한국 사회를 바꾸는 변화가 지체되거나 심지어 퇴행하고 있다”면서 “더 이상 대통령의 입과 정부의 약속이행만 기다리고 바라보고 있을 수 없다, 노동자의 권리를 빼앗는 법에 여야 없이 야합으로 한통속이 되는 국회에 청원만 해서는 길이 없음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노동기본권 보장을 위한 노동법 개정과 복수노조 교섭창구단일화 등 노동악법 철폐 또한 쟁취해 나갈 것”이라며 “11월 총파업은 국제노동기구(ILO) 핵심협약 비준과 노동법 개정 쟁취를 위한 총파업이며, 하나둘씩 파기되는 대통령 공약 이행을 강제하고 친재벌 기조로 기울고 있는 정부정책의 후퇴를 멈춰 세우는 파업”이라고 강조했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