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노동

“책방 지킬 사람 구합니다” 사회과학서점 ‘풀무질’ 문 닫는다

등록 2019-01-06 10:42수정 2019-01-06 21:02

성대 앞 사회과학서점 ‘책방 풀무질’ 이르면 2월 폐업
은종복 대표 “책방 정신 계승할 인수자 찾는다”
“대학가 사회과학서점 실종되면 대학 인문학 기능도 쇠퇴”
은종복(54) 책방 풀무질 대표
은종복(54) 책방 풀무질 대표
서울 명륜동에서 34년째 명맥을 이어온 사회과학서점 ‘책방 풀무질’이 이르면 오는 2월 폐업할 예정인 것으로 확인됐다. 풀무질 대표는 “책방을 보존하려는 이가 나온다면 10원 한 푼 못 받아도 이 사업을 이어나가게 하고 싶다”고 호소했다.

풀무질 은종복(54) 대표는 지난 3일 <한겨레>와 만나 “10년 전께부터 적자가 쌓여 현재까지 출판사에 지급하지 못한 돈만 1억원 가까이 된다”며 “4년 전께부터는 더는 감당할 수 없는 수준으로 빚이 늘어, 어렵게 지켜온 책방 풀무질을 그만 운영하려 한다. 새로운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이르면 올해 2월께 늦으면 5월께 문을 닫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은 대표는 “1990년대 초반부터 대학에도 산학협력과 같은 신자유주의 풍토가 들어와 인문학책을 읽으려는 욕구도 꺾인 것 같다”며 “그래도 풀무질은 뒷심이 있어 버텼는데 대형서점의 할인 경쟁에 치여 결국 무너졌다”고 덧붙였다.

풀무질은 1985년 학생운동의 열기 속에서 성균관대 인근에 둥지를 튼 사회과학서점이다. ‘풀무질’이란 이름은 성균관대 신문방송학과 학회지의 명칭을 빌린 것으로 “전두환 정권에 불바람을 일으켜 맞선다”는 저항의 뜻을 담고 있다. 풀무질은 대장간에서 낫이나 칼 만들 때 센 바람을 불어넣는 행위를 일컫는 말이다. 은 대표는 1993년 4월1일부터 풀무질의 번째 대표로 일하며 26년 가량 서점을 운영해왔다. 그는 “1993년엔 김귀정 열사 추모집회에 가는 학생들의 책가방 수백개를 맡아주기도 했고, 1997년엔 <전태일 평전>이나 <월간 말> 등을 판다는 이유로 남영동 대공분실에 끌려가기도 했다”고 돌아봤다.

은 대표는 지난해 7월26일 문재인 대통령과의 ‘생맥주 미팅’에서 문 대통령에게 직접 “책방은 수입을 위해 존재하는 게 아니라 마을 공동체와 오아시스가 돼야 한다”며 “프랑스에서는 동네 책방을 열면 10억원을 무이자로 빌려준다”고 호소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에도 운영 어려움이 해소되지 않으면서 폐업을 결심하게 됐다. (▶관련 기사 : 문 대통령 깜짝 ‘생맥주 미팅’…시민들 고충 털어놨다)

은 대표는 희망을 놓지 않고 있다. 그는 “나는 은행 빚이 쌓여 더는 이곳을 운영할 수 없게 됐지만, 인문학 책방이라는 전통만큼은 꼭 지키고 싶다”며 “책방을 보존하려는 이가 나온다면 10원 한 푼 못 받아도 이 사업을 이어나가게 하고 싶다”고 말했다. 은 대표는 인수자에 대한 희망 사항도 드러냈다. 그는 “시인 김수영을 찾는 손님에게 신동엽을 추천할 정도로 인문학을 사랑하는 사람이면 좋겠다”며 “책방 운영이 생각보다 노동 강도가 높으니 젊은 청년이면 더할 나위 없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풀무질을 지키려는 이유를 두고 은 대표는 “우리 서점은 (서울대 앞) ‘그날이 오면’과 함께 서울에 단 두 곳뿐인 사회과학서점이다. 사회과학서점은 단순한 서점이 아닌, 사회에 인문학을 공급해 시민의 사회참여를 돕는 장”이라고 설명했다.

책방 풀무질 내부 모습
책방 풀무질 내부 모습
성균관대 학생과 시민들은 아쉬움을 내비쳤다.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생 한재하(27)씨는 “학부 때도 학교 앞 사회과학서점들이 오래 못 버티고 망하는 것을 보며 속상했다”며 “풀무질은 대학원에 올 때까지 남아있는 유일한 인문학 책방이었는데 이곳마저 사라진다면 많이 섭섭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날이 오면’의 김동운 대표도 “풀무질은 ‘그날이 오면’과 비슷한 시기에 문을 열었고 은 대표도 나처럼 1993년께부터 운영을 해온 사람”이라며 “인문학 서적을 찾지 않는 흐름은 이미 오래도록 지속되어온 것이라 해도 (책방이 문을 닫는 것은) 안타깝다”고 말했다.

글·사진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