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열린 ‘실업급여 설명회’에 참석한 구직자들이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올 3~4월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유입한 인구가 지난해보다 2배 이상 늘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회적 거리두기’의 여파로 청년층의 취업문이 더 좁아진 가운데, 지방에서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웠던 20대가 그나마 여건이 나은 ‘수도권행’을 택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고용정보원이 6일 발표한 ‘포스트 코로나19와 지역의 기회’ 보고서를 보면, 통계청 인구이동 통계 분석 결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가파르게 늘었던 지난 3~4월 수도권 유입 인구는 2만75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만2800명)과 비교해 2배 넘게 늘었다. 이 가운데 약 75%(1만8명)가 20대였다.
통상 1~2월은 전·월세 임대계약의 종료나 입학과 졸업, 취업 등으로 인해 수도권 유입 인구가 큰 폭으로 늘어났다가 3~4월 이후 유입세가 꺾인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전국적으로 확산했던 올 3~4월은 이전과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하기 직전인 지난 1~2월 수도권 유입 인구는 2만82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만6100명)에 비해 8%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 때문에 2020년 3~4월의 수도권 유입 인구의 증가는 코로나19와의 관련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통계를 분석한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지역일자리지원팀장)은 “코로나19 발생으로 상반기 채용시장의 문이 닫히면서, 일자리가 전반적으로 줄어든 가운데 (지방과 비교해) 그나마 사정이 나은 서울, 경기도 등 수도권으로 청년들이 몰린 것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을 것 같다”고 20대의 높은 수도권 유입 배경을 설명했다.
경기 불황 때 청년층이 상대적으로 고용상황이 덜 나쁜 수도권으로 몰리는 ‘푸쉬’(push)형 인구이동 현상은 아이엠에프(IMF) 외환위기 때도 비슷했다. 1997년 외환위기로 대량 실업이 발생한 이듬해(1998년) 1년간 9000여명에 불과했던 수도권 순유입 인구는 2002년 21만명까지 증가한 바 있다는 게 이 부연구위원의 설명이다.
반면, 1년 전보다 ‘인구소멸’ 위험단계에 접어든 지방 도시는 더 큰 폭으로 늘었다. 전국 228개 시·군·구 가운데 지난해(5월 기준) 93곳(40.8%)에 불과했던 ‘소멸 위험지역’은 올해(4월 기준) 105곳(46.1%)로 12곳 더 증가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수도권으로의 인구 쏠림 현상이 심화되는 만큼 지방소멸 위험이 가속화하고 있는 셈이다.
한 지역의 20~39살 여성인구 숫자를 같은 지역의 65살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값을 ‘소멸 위험지수’라고 하는데, 이 수치가 0.5 미만인 경우 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된다. 올해 새로 소멸위험지역으로 진입한 지역 가운데에는 △경기 여주시(0.467) △경기 포천시(0.499) △충북 제천시(0.457) △전남 나주시(0.499) 등이 포함됐다. 광역시 단위에서도 △부산 서구(0.462) △인천 동구(0.465) △대구 서구(0.472) 등 대도시 내 낙후지역들 역시 소멸위험지역으로 꼽혔다.
선담은 기자
s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