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협회 “토론제안 진전성 의심”…신중한 자세 돌아서
‘취재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을 둘러싼 노무현 대통령과 언론계 사이 공개토론 문제가 미묘한 기류에 휩싸였다. 청와대가 노 대통령의 ‘공개토론 용의’ 발언을 토대로 적극적 추진의사를 비치는 반면에, 정작 언론계 쪽은 다소 신중한 태도로 돌아섰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1일 “노 대통령은 언론사 종사자들뿐 아니라 사회 모든 영역의 사람들이 참여하는 대토론회를 생각하고 있다. 취재지원 시스템의 찬반을 넘어 언론사 사주와 데스크, 정당 대표 등 누구라도 참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찬성이든 반대든 대표성 있는 단체들이 영역별 공론을 모아오는 것을 전제로, 상호 의견을 개진하자는 뜻이다.
청와대 홍보수석실의 핵심 관계자도 “토론회가 단순하게 특정 방송사의 방송 프로그램 형태로 열리는 게 아니라, 찬반 이해 당사자들 사이에 뜨거운 공론이 벌어져 있으니 그 당사자들이 가능하면 최대한 많이 참석해 실질적이고 의미있는 토론을 하는 게 중요하다. 아직 구체적 형식과 절차나 시기를 결정한 것은 아니고 이제 (관련 당사자들과) 협의를 시작했다”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에 관한) 기본 정보가 너무 일방적으로 알려져 있다”며 “토론을 하면 생중계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현재 청와대 쪽이 실무 차원에서 의사를 타진한 언론단체가 있으며, 방송기자클럽의 경우는 청와대의 생각을 ‘실무적으로’ 파악하기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방송기자클럽은 그동안 생중계로 하는 대선 후보 초청 토론회를 주관해 왔다.
이에 대해 정일용 한국기자협회 회장은 “토론하자는 것은 대화로 합리적 방안을 찾자는 것인데 아직 논란을 빚고 있는 안을 시행일 전에 일부 부처에서 일방적으로 강행하고 있는 점에 대해서는 아무런 이야기가 없다. 토론 제안의 진정성에 의심이 간다”며 토론회의 성사 가능성에 회의적 시각을 보였다. 정 회장은 지난 31일에는 “서로 터놓고 의견을 들어보는 차원의 자리라면 얼마든지 환영한다”고 말했으나, 금융감독원이나 금융감독위원회에서 기자들의 사무실 출입 금지령을 내리면서 태도를 바꾼 것으로 보인다.
신승근 문현숙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