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기자실 공사 강행”
한국기자협회는 최근 정부와 언론단체 대표들이 마련한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 방안’ 공동합의안을 거부하기로 12일 결정했다. 그러나 청와대와 정부는 합의안을 바탕으로 기사송고실 통폐합 공사 등을 예정대로 추진하겠다고 밝혀, 기자협회의 반발이 예상된다.
기자협회는 이날 운영위원회를 열어 공동합의안을 백지화하고 협회 ‘취재환경개선 특별위원회’가 마련한 대안을 공식 의견으로 채택했다. 특위 안은 △공무원이 악의적으로 정보를 공개하지 않을 경우 처벌조항 마련 △취재회피 공무원 책임 추궁 △등록기자 정부청사 출입 자율화 등 정보공개법 개정, 공무원과의 대면접촉권 확보와 관련한 세부조항을 담고 있다. 운영위는 이런 내용을 담아 정부와의 재협상을 제안하고 협상창구는 박상범 특위 위원장으로 단일화하기로 했다.
그러나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정부와 5대 언론단체들이 성실히 협의해 합의안을 만들었는데, 기자협회만 내부 문제로 합의안을 수용하지 않았고 나머지 단체는 받아들였다”며 “14개 합의사항 가운데 기자협회와 합의 없이는 안 되는 몇 개를 제외하고는 합의안을 그대로 지켜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국정홍보처도 이날 논평을 내어 “기자협회가 정부와 언론단체들 간에 의견접근을 이룬 공동발표문 수용을 거부한 것은 안타깝고 유감스럽다”며 “정부는 그간 언론단체와 협의한 내용을 존중해 취재지원 시스템 개편방안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와의 협상에 참여했던 한국인터넷기자협회, 한국인터넷신문협회, 한국방송프로듀서연합회 등은 합의안을 받아들인다고 밝혔다. 반면, 전국언론노조는 기자협회와 뜻을 같이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박상범 기자협회 특위 위원장은 “정부가 기사송고실 공사 등을 강행할 경우 헌법소원 등 법적 투쟁은 물론 정부가 폐쇄하려는 기사송고실로 계속 출근하는 등 비폭력 투쟁을 벌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정민 신승근 이재명 기자 westm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