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 등 맞서 ‘법과 원칙’ 합창
촛불이 사그라들면서 ‘조중동’의 반격이 시작됐다.
6월10일 이후 촛불문화제 참여 인파 감소, 13일부터 시작된 화물연대 파업이 신호탄이 됐다.
세 신문은 칼럼과 사설을 통해 이명박 대통령의 정면돌파를 정국 해법으로 들고 나섰다. ‘법’ ‘질서’ ‘원칙’이란 단어가 등장했다. 강경대응을 주문하고 있는 것이다.
<조선일보> 16일치 김대중 칼럼의 제목은 ‘엠비 일생일대의 결단’이었다. 김대중 고문은 “이 대통령은 실패자가 될망정 배신자가 돼서는 안 된다. ‘못난 대통령’으로 남을망정 포퓰리스트 대통령이 돼서는 안 된다”며 “우회전 신호를 켜고 좌회전하는 ‘제2의 실수’를 저질러서는 안 된다”고 촉구했다. 17일치 신문에는 매우 긴 제목의 사설이 실렸다. ‘요동치는 세계경제 위를 표류하는 한국경제의 불안, 연쇄파업과 줄시위로 폭발의 뇌관 건드릴텐가’였다.
<중앙일보>는 17일치 문창극 칼럼 ‘정부다운 정부’를 실었다. 부제목은 ‘기회주의 처신 정부 위신만 추락’ ‘번영은 질서 있는 곳에서만 가능’ ‘대통령 돌 맞을 각오하고 나서야’로 되어 있다. 문창극 주필은 “정부가 정부다워야 한다. 정당한 권력의 권위를 회복하라는 것이다. 질서와 원칙을 지키라는 것이다”라고 주문했다. “권력이 민중을 억압하려 할 때 민중이 저항하듯, 민중이 정부를 흔들려고 할 때 정부는 나라를 지켜야 한다”고 썼다.
18일치 사설 ‘시위대 눈치보는 공권력의 타락’에서 이 신문은 “이 정권 초기 정부가 그토록 강조하던 법과 원칙은 어디로 사라졌는지 묻고 싶다. 평화롭고 합법적인 집회는 적극 보호해야 한다. 그러나 불법적인 집회나 불법행위에 대해서까지 눈을 감는다면 이 나라는 법치국가가 아니다. 이제라도 공권력을 바로 세워야 한다”고 주문했다.
<동아일보>는 16일치에 특집기사를 실었다. ‘2008년 6월, 수렁에 빠진 대한민국’이 1면의 큰 제목이었다. 3면부터 5면까지 ‘중심 잃은 정치, 갈등 해법 못 내놓고 이슈마다 끌려다녀’, ‘수렁 속의 경제, 한치 앞도 캄캄 기업 경영계획 백지서 재점검’ ‘역주행 코리아, 목청커진 반세계화 … 멀어지는 경제선진화’라는 제목을 달았다.
김창룡 인제대 교수는 “법과 질서는 중요한 것이지만 언론이 내놓는 그런 구태의연한 처방으로 이번 사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지 않는다”며 “그런 보도가 이명박 대통령을 잘못된 길로 이끌어 근본적인 쇄신을 하지 않고 미봉하려 들 경우 결과적으로 대통령과 정부가 매우 위험한 국면을 맞게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성한용 선임기자 shy9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