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는 이달 26일부터 29일까지 중국 하얼빈에서 개최되는 재외동포 언론사 기자재 지원사업과 관련한 박 이사장의 중국 출장을 허가하지 않았다. 문화부는 지난 6월에도 박 이사장의 스웨덴 예테보리 세계신문협회 총회 참석을 불허한 바 있다. 박 이사장은 지난 14일 공문을 통해 중국 출장 승인을 요청했으나, 문화부는 21일 회신공문에서 재고를 통보했다. 문화부는 공문에서 “이사장이 참석을 요청한 세미나(‘재외동포 방송의 역할과 미래’)의 경우 국외 개최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인정받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거부 이유를 밝혔다. 박 이사장은 “연이은 출장 불허는 퇴진 압박을 위한 것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며 반발했다. 문화부 관계자는 “공문에 밝힌 것 외에는 할 말이 없다”고 밝혔다.
문화부는 이에 앞서 지난 6월에는 재단의 언론단체 세미나·조사연구·간행사업 지원을 심사하는 심사위원 6명(내·외부위원 각각 3명씩)의 전원 교체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재단에 따르면, 문화부는 6월초 심사위원 중 내부위원인 재단이사 3명을 심사의 객관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이유로, 외부위원 3명을 본인이 소속된 단체 주최의 행사를 심사하는 경우 이해당사자가 된다는 이유로 교체를 요구했다. 재단 관계자는 “내부위원들은 경영진 퇴진압박을 위해, 주로 진보적 성향인 외부위원들은 정부 코드에 맞지 않아 바꾸길 원한 것 같다”고 말했다. 외부위원엔 박근애 <미디어오늘> 편집국장과 박상건 신문발전위원회 전문위원 등이 포함돼 있다. 재단은 문화부 요구가 부당하다고 항의한 끝에 6월 중순께 내부위원 3명과 외부위원 1명을 교체했다.
언론재단이 외신기자클럽과 함께 여는 ‘프레스 브리핑’도 문화부 개입으로 취소됐다. 지난 5월 광우병 쇠고기 논란 과정에서 정부 협상의 문제점을 지적해온 우희종 교수를 초청해 외신기자 대상 프레스 브리핑을 계획했으나 문화부가 브리핑 취소를 강력히 요청해 이를 수용했다고 재단 관계자는 밝혔다.
한편 언론재단 노조는 재단을 포함한 정부의 언론지원기관 통폐합 방침과 정부대행광고 이관 논란 등을 막아내지 못한 책임을 경영진에게 돌리며 25일 퇴진운동을 시작했다.
최영묵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수십명에 이르는 이명박 대선캠프 언론특보들의 자리를 만들어주는 데 언론재단의 이사 네 자리는 더 없이 좋은 타깃일 수밖에 없다”며 “노조가 권력에 기대 불안한 미래를 보장받으려 할수록 정말 필요할 땐 외부의 지지와 도움으로부터 외면당하고 말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문영 기자
moon0@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