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상재 전국언론노조 위원장(앞줄 왼쪽부터), 최문순 민주당 의원, 성유보 방송장악·네티즌탄압저지 범국민행동 상임운영위원장 등 시민·언론·노동단체 대표들이 지난 15일 서울 남대문로 <와이티엔> 본사 앞에서 “낙하산 사장 저지, 방송 장악 음모 분쇄” 등의 구호를 외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YTN 공기업 지분 매각’ 날선 공방
임태희·나경원 등 “당정간 논의 없었다”
임태희·나경원 등 “당정간 논의 없었다”
한국방송 낙하산 인사와 문화방송 민영화 논란에 이어 이번엔 ‘와이티엔 민영화’ 문제가 정치권의 첨예한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민주당·자유선진당·민주노동당 등 야권은 한목소리로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이 와이티엔의 공기업 소유 지분을 민간에 매각하겠다고 밝힌 것은 직권 남용인 동시에 고도의 정치적 개입이라며 날을 세우고 있다.
김유정 민주당 대변인은 31일 논평에서 “신 차관이 문화부 관할 기관도 아닌 공기업에 주식 매각을 종용한 것은 직권남용”이라며 “신 차관은 와이티엔 주식을 서둘러 매각하도록 해 주식을 보유한 공기업에 손실을 유발한 법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한 “공기업의 자율경영 원칙을 훼손하고 사회적 합의도 없이 정부 지분을 헐값에 급매각하는 것은 구본홍 사장을 반대하는 와이티엔 직원들에 대한 협박이며, 특정 세력에게 와이티엔을 헐값에 매각하려는 의도로밖에 볼 수 없다”고 말했다.
박선영 자유선진당 대변인도 “와이티엔 주식매각은 와이티엔 이사회 소관으로 신 차관이 나설 일이 아니다”라며 “신 차관은 케이비에스 등에 대한 부적절한 발언에 이어 와이티엔에 대해서도 월권행사를 하는 부적절한 처신을 중단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부성현 민주노동당 부대변인은 구두논평에서 “구본홍 사장에게 저항하는 노조원을 길들이려는 의도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나라당은 공식적으로는 신 차관을 엄호하고 나섰다. 차명진 한나라당 대변인은 구두 논평에서 “와이티엔은 원래 민간기업이었다”며 “외환위기 때 공기업이 임시방편으로 사들였던 주식을 민간에게 되돌려주는 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일”이라고 반박했다. 또한 “공기업의 운영지침에 대해 정부가 일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권한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와이티엔 민영화 방침을 의아해하는 분위기도 당내에 일부 나타났다. 나경원 제6정책조정위원장은 이날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이와 관련해 당정간에 논의가 없었다”며 “일종의 ‘압박성’이 아니겠는가. 와이티엔 민영화 정책 평가에 대해선 노 코멘트”라며 말을 아꼈다. 임태희 정책위의장도 “그에 대해 정책위에선 별 얘기를 듣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