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언론노동조합이 한나라당의 언론관계법 철회를 요구하며 26일 오전 6시부터 총파업에 돌입하기로 결정하면서, 지상파방송 3사 노조의 움직임도 분주해지고 있다. 방송사 노조가 파업에 들어가면 1999년 통합방송법 제정을 앞두고 벌인 연대파업 이후 10여년 만의 파업이 된다.
파업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문화방송> 노조다. 노조는 한나라당 신문·방송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문화방송이 최우선적으로 민영화 파고에 내몰릴 것이란 위기의식이 크다. 문화방송 노조는 19일 전국 지본부가 참여한 비상대책위원회를 열고 파업 참여방식에 대한 논의를 끝낸 상태다. 파업 시작과 동시에 제작에 참여하는 조합원들은 모든 프로그램에서 철수한다는 방침이다.
박성제 노조위원장은 “‘언론악법’ 입법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경영진을 향한 기대를 버렸다”면서 “보도와 시사교양 쪽을 시작으로 먼저 결방 사태가 발생하겠지만, 이미 만들어져 있는 프로그램과 간부들 긴급 투입을 고려하면 실질적인 파업 효과는 다음주부터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파업대책본부를 가동해온 <서울방송> 노조도 23일 저녁 사옥 본관에서 총파업 결의대회를 열고 파업준비 상황을 공유했다. 심석태 노조위원장은 “사내 일부에선 한나라당 언론관계법이 통과되면 민영방송의 특수성이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있는 게 사실”이라면서도 “광고 시장이 줄고 있는 상황에서 엠비시가 민영화되면 더욱 친재벌적이고 상업적인 방송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하는 생존경쟁에 내몰리게 된다는 점에서 대부분 파업 취지에 공감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8월 언론노조를 탈퇴한 <한국방송> 노조는 파업 분위기에서 한 발짝 비켜서 있다. 최재훈 노조 부위원장 당선자는 “지금은 집행부 이양 시기인데다 차기 집행부 인선도 안 된 상태라 뭐라 말할 단계가 아니다”고 밝혔다. 결국 노조 선거에서 회사 쪽과 대립각을 세웠던 사원행동의 집행부 참여 여부가 결정된 이후에나 노조의 대응방향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현재 노조와 사원행동은 통합 집행부 구성을 놓고 협의중이다. 이문영 기자 moon0@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