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부장까지 교체 관측 ‘수뇌부 친정부 인사로’
반발거센 ‘민영화’ 공영방송법 통해 압박할듯
반발거센 ‘민영화’ 공영방송법 통해 압박할듯
‘MBC 장악’ 시나리오
‘피디수첩’ 검찰 기소에 이은, 정부·여당 관계자들의 ‘<문화방송> 때리기’는 결국 문화방송을 <한국방송>처럼 정권의 손아귀에 확실하게 넣겠다는 계산에서 나온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시민·언론단체들 사이에서는 ‘7월 언론법 통과 → 8월 방문진 개편 뒤 엄기영 사장 해임 → 공영방송법 처리 → 엠비시 민영화’ 등의 시나리오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실제 여권에서는 피디수첩 수사결과 발표를 계기로 문화방송을 개조해야 한다는 의지가 강하다. 청와대 관계자는 28일 “문화방송은 오로지 자기 이해관계에 따라 정부비판 보도를 하고 있다. 언론기관이 아니라, 언론기관의 탈을 쓴 정치집단”이라고 말해, 문화방송을 바라보는 여권의 반감을 단적으로 드러냈다.
이런 판단 아래, 정부·여당은 문화방송의 ‘편파성’과 ‘부당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하면서 오는 8월8일 임기가 끝나는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 이사진 교체를 통해 자연스레 문화방송 사장 등 경영진을 교체한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정부·여당은 특히 지금까지 관행적으로 인정해오던 문화방송 추천 몫까지 인정하지 않을 태세다. 방문진이 처음 구성되던 시점부터 방문진은 문화방송에 2명의 이사를 추천하는 권한을 부여해왔다. 방통위는 이런 관행을 존중할 이유가 없다는 태도다. 방문진법에 방통위가 선임한다고만 돼있는 만큼 상임위원들이 논의해서 결정할 일이라는 것이다. 언론계에서는 민주당 추천 방통위 상임위원들의 그간 보여온 어정쩡한 태도를 감안할 때 방문진 이사 분포가 압도적인 여당 우위로 귀결될 수도 있다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청와대 안에서는 구성원 자율성이 강한 문화방송의 조직특성을 이번 기회에 바꿀 필요성이 있다고 보고, 신임 사장은 추진력이 강한 외부인사로 채우겠다는 인식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여권과 방송가에서는 문화방송의 사장과 보도·제작·경영·기술 등 4개 본부장 및 감사 등 5명의 이사를 친정부적 인사로 전면 교체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문소현 문화방송 노조 홍보국장은 “확실하게 정부의 하명을 내려보내기 위해 부장들까지 친정부 성향 인물들로 바꿀 가능성도 있다”며 “이렇게 되면 데스크와 구성원들간의 치열한 다툼이 벌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시민·언론단체 진영에서는 정권이 엄기영 사장 해임 이후 공영방송법을 통해 문화방송을 지속적으로 압박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정병국 한나라당 의원이 올 3월 발의한 공영방송법안을 보면, 광고가 전체 수입의 20%를 넘을 경우, 공영방송의 규정에서 빠지도록 하고 있다. 양문석 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총장은 “케이비에스 2채널을 민영화할 때 자연스럽게 문화방송 내용도 포함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창섭 기자 cool@hani.co.kr
시민·언론단체 진영에서는 정권이 엄기영 사장 해임 이후 공영방송법을 통해 문화방송을 지속적으로 압박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정병국 한나라당 의원이 올 3월 발의한 공영방송법안을 보면, 광고가 전체 수입의 20%를 넘을 경우, 공영방송의 규정에서 빠지도록 하고 있다. 양문석 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총장은 “케이비에스 2채널을 민영화할 때 자연스럽게 문화방송 내용도 포함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창섭 기자 cool@hani.co.kr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