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위기 강조해 MBC 압박”
김우룡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 새 이사장이 13일 “엠비시의 100% 민영화는 불가능하다”면서도 구체적 민영화 방안을 경영진 비판과 맞물려 제시한 ‘이중화법’을 두고, ‘민영화 속내와 전략’의 한 단면을 드러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김 이사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문화방송>(MBC) 소유구조 개편 논의에 본격 착수할 뜻을 밝히며 포스코와 케이티앤지(KT&G)를 “참고할 만한 민영화 모델”로 거론하는가 하면, 19개 지역 문화방송의 순차적 매각과 광역화도 “검토 가능하다”고 밝혔다. “경영진의 공과를 짚을 것”이라며 경영 실패도 강조했다.
언론계에선 김 이사장이 문화방송의 사회적·공적 기능을 언급하지 않은 채 경영위기의 주요 해법으로 소유구조 개편을 적극 거론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조영호 전 방문진 이사는 “상반기 엠비시 경영적자는 방송계 전반의 문제인데다, 청와대 대변인까지 나서서 ‘경영진 물러나라’는 마당에 기업들이 엠비시에 제대로 광고할 수 없는 측면이 있었다”며 “경영 문제를 물고 늘어지며 침소봉대하는 것은 의도가 있다”고 비판했다. 문화방송의 한 간부도 “현재 광고수입이 늘고 있어 연말에 가면 흑자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다”며 “세계적 경제위기를 경영진 문책과 구조 개편 이유로 삼는 것이 타당한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지역 문화방송의 순차적 매각에 따른 광역화’ 언급도 경영위기 타개 목적이라기보단 엠비시 민영화 추진을 위한 사전정지 작업이란 지적이 많다. 채수현 언론개혁시민연대 정책위원은 “엠비시가 상업방송이 되면 정부는 정책 규제를 통해 개입할 수 있고, 기업들에 압력을 넣어 광고 통제도 할 수 있다”며 “정부로서는 엠비시 민영화가 괜찮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당장 19개 지역 문화방송 노조는 14일 김 이사장에게 보내는 공개편지 형식의 글을 발표해 “‘지역 엠비시 매각’이란 말은 ‘서울 엠비시만 엠비시이고, 지역 엠비시는 서울 엠비시가 소유한 동산이나 부동산으로 여기는 사고’를 드러낸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김 이사장이 포스코와 케이티앤지 모델을 ‘공영적 민영체제’로 포장한 것도 민영화 의지를 공개적으로 드러낸 것이란 분석이다. 하지만 포스코는 영리기업에 가깝다는 점에서, 케이티앤지 또한 주주들이 기업의 공적 책임보단 개인의 이해관계를 우선시하는 쪽으로 단계적 민영화 절차를 밟고 있다는 점에서 공영방송과 비교 대상이 되긴 어렵다. 김서중 성공회대 교수는 “국민주든 뭐든 주식시장에 엠비시를 내놓는 것 자체가 엠비시의 이익을 주주 개인에게 돌려 사영화하는 것”이라며 “신문과 대기업에 직접 주식을 양도하지 않을 뿐 그들이 시장에서 주식을 매입할 때 무슨 수로 막을 것이냐”고 반문했다. 이문영 박창섭 기자 moon0@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